반응형
# 인프런 MVC 프레임워크는 내손에 8일차 : JavaEE기본_Servlet(서블릿)
## Servlet (서블릿)
- Servlet(서블릿)이란 Server + Let가 결합된 단어
- Java로 이루어진 웹에서 동작되는 프로그램
- 100% Java class로 만든다.
### Servlet 생성 작업
- src에는 자바적인 요소가 들어가는데, Servlet는 해당 폴더에 작업.
- 아래와 같이 패키지 생성
- 패키지 생성 후 해당 패키지에 HelloServlet 클래스 생성
- javaEE는 web용 api인 servlet.api.jar 필요.
- 클래스가 웹에서 동작하는 Servlet가 되기 위해서는 우선 HttpServlet를 상속 한다.
- 그리고 부모(HttpServlet)의 서비스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재정의 한다.
- Servlet(서블릿)의 기본 골격은 아래와 같다.
package kr.web.controller;
import java.io.*;
import javax.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
public class HelloServlet extends HttpServlet {
@Override
protected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p)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super.service(req, resp);
}
}
package kr.web.controller;
import java.io.*;
import javax.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
import kr.web.util.MyUtil;
// JavaEE 의 기본 프로그램을 Servlet(서블릿)이라고 함.
// Servlet(서블릿)의 골격
public class HelloServlet extends HttpServlet {
// Servlet에서 main과 같은 메소드 : service
@Override
protected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p)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 1 ~ 100 까지의 총합 계산하기.
MyUtil my = new MyUtil();
int sum = my.hap();
// 요청한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하기.
PrintWriter out = resp.getWriter();
out.println("<html>");
out.println("<body>");
out.println(sum);
out.println("</body>");
out.println("</html>");
}
}
반응형
'인프런 강의 학습 > MVC 프레임워크_나프1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프런 MVC 프레임워크는 내손에 10일차 : @WebServlet 사용(Servlet Mapping) (0) | 2021.06.01 |
---|---|
인프런 MVC 프레임워크는 내손에 9일차 : Servlet 실행(Servlet 매핑, web.xml) (0) | 2021.06.01 |
인프런 MVC 프레임워크는 내손에 7일차 : JSP 비즈니스 로직 분리 (0) | 2021.05.31 |
인프런 MVC 프레임워크는 내손에 6일차 : JSP 생성, 구동(동적페이지) (0) | 2021.05.30 |
인프런 MVC 프레임워크는 내손에 5일차 : Context 등록, index.html 요청 (0) | 2021.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