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entOS
- 센트OS 프로젝트에서 레드햇 제휴로 개발한 컴퓨터 운영 체제.
- 업스트림 소스인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와 완벽하게 호환되는 무료 기업용 컴퓨팅 플랫폼 제공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리눅스계 운영 체제 가운데 하나이다.
- 자체 커뮤니티에 의해 관리되는 운영체제이다.
- 기본적으로 포함되는 소프트웨어와 업데이트되는 소프트웨어를 아울러 이진 파일에 대해 상위판과 100%에 최대한 가까운 호환성을 유지하는 것이 원칙이며 이 원칙에서 최대한 벗어나지 않는 것 또한 원칙이다.
- 주로 Yum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2. Apache
-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관리하는 HTTP 웹 서버
- 리눅스, 유닉스, 윈도우 등 다양한 기종에서 운용 가능하다.
- 톰캣, Resin 등의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3. PHP
- 프로그래밍 언어의 일종으로, 동적 웹 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PHP로 작성된 코드를 HTML 소스 문서 안에 넣으면 PHP 처리 기능이 있는 웹 서버에서 해당 코드를 인식 작성자가 원하는 웹 페이지를 생성한다.
- 근래에는 PHP 코드와 HTML을 별도의 파일로 분리하여 작성하는게 일반적이며, PHP도 웹서버가 아닌 php-fpm을 통해 실행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4. MariaDB
- 오픈 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MySQL과 동일한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하므로, 사용방법과 구조가 MySQL과 동일하다.
- 명령어나 사용방법 (5.5까지) 모두 MySQL과 동일하다. 편의를 위해 마리아DB는 동일한 MySQL 버전과 바이너리 드롭인 교체를 지원한다.
5. 웹서버
- 웹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들이고, HTML 문서와 같은 웹 페이지를 반환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HTTP를 통해 웹 브라우저에서 요청하는 HTML 문서나 이미지 파일 등을 전송해 주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6. 웹클라이언트
- 서버와 상대되는 개념으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웹 서버에 자료를 요청하기 위해 HTTP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7. HTML
- 웹 페이지를 위한 지배적인 마크업 언어이다.
- HTML은 제목, 단락 등 본문을 위한 구조적 의미를 나타내는 것 뿐만 아니라 링크, 인용과 그 밖의 항목으로 구조적 문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 HTML은 이미지와 객체를 내장하고 대화형 양식을 사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8. CSS
- 마크업 언어가 실제 표시되는 방법을 기술하는 언어로 HTML과 XHTML에 주로 쓰이며, XML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 CSS는 단순한 문법을 가지며, 수많은 영어 키워드를 사용, 다양한 스타일의 프로퍼티의 이름을 규정한다.
- 스타일 시트는 규칙의 목록으로 구성되며, 각 규칙이나 규칙 집합은 하나 이상의 셀렉터와 하나의 선언 블록을 이룬다.
- CSS는 따로 CSS만의 코드가 필요하지 않고 그대로 HTML 문서에 CSS의 키워드를 넣으면 된다.
9. Javascript
- HTML과 CSS로 만들어진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변경해주는 언어로서 경고창, 탭 인터페이스 등 Drag & Drop 기능의 웹애플리케이션을 만들수 있게 해준다.
- 객체 기반의 언어이다. 하지만 상속과 클래스라는 개념은 없다.
- 인터프리터 언어로서 클라이언트의 웹 브라우저에 의해 해석, 실행된다.
- HTML 문서 내에 기술되고 HTML 문서와 함께 수행된다.
- HTML에 연산 제어 등 프로그래밍적인 요소를 추가하고 클라이언트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