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레이어 패턴 (Layers pattern)

- 레이어 패턴은 시스템을 계층(Layer)으로 구분하여 구성하는 고전적 방법 중의 하나이다.

- 레이어 패턴은 각각의 서브시스템들이 계층 구조를 이루며, 상위 계층은 하위 계층에 대한 서비스 제공자가 되고, 하위 계층은 상위 계층의 클라이언트가 된다.

- 레이어 패턴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계층 사이에서만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며, 변경 사항을 적용할 때도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계층에만 영향을 미치므로 변경 작업이 용이하다.

- 레이어 패턴은 특정 계층만을 교체해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OSI 참조 모델이 있다.

 

*클라이언트-서버 패턴 (Client-Server Pattern)

- 클라이언트-서버 패턴은 하나의 서버 컴포넌트와 다수의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로 구성되는 패턴이다.

- 클라이언트-서버 패턴에서 사용자는 클라이언트와만 의사소통을 한다. 즉 사용자가 클라이언트를 통해 서버에 요청하고 클라이언트가 응답을 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비해 항상 대기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 클라이언트나 서버는 요청과 응답을 받기 위해 동기화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서로 독립적이다.

 

*파이프-필터 패턴 (Pipe-Filter Pattern)

- 파이프-필터 패턴은 데이터 스트림 절차의 각 단계를 필터 컴포넌트로 캡슐화하여 파이프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패턴이다.

- 필터 컴포넌트는 재사용성이 좋고, 추가가 쉬워 확장이 용이하다.

- 필터 컴포넌트들을 재배치하여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 파이프-필터 패턴은 데이터 변환, 버퍼링, 동기화 등에 주로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유닉스의 쉘(Shell)이 있다.

 

*모델-뷰-컨트롤러 패턴 (Model-View-Controller-Pattern, MVC)

- 모델-뷰-컨트롤러 패턴은 서브시스템을 3개의 부분으로 구조화하는 패턴이며, 각 부분의 역할은 아래와 같다.

- 모델(Model) : 서브시스템의 핵심 기능과 데이터를 보관한다.

- 뷰(View) :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한다.

- 컨트롤러(Controller) : 사용자로부터 받은 입력을 처리한다.

- 모델-뷰-컨트롤러 패턴의 각 부분은 별도의 컴포넌트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서로 영향을 받지 않고 개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 모델-뷰-컨트롤러 패턴에서는 여러 개의 뷰를 만들 수 있으므로 한 개의 모델에 대해 여러 개의 뷰를 필요로 하는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반응형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 클래스, 캡슐화, 상속, 다형성  (0) 2020.05.12
객체지향  (0) 2020.05.11
아키텍처 패턴  (0) 2020.05.10
정보 은닉  (0) 2020.05.10
모듈화, 추상화  (0) 2020.05.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