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리즈 노트 초기 버전 작성 시 고려사항
- 릴리즈 노트는 정확하고 완전한 정보를 기반으로 개발팀에서 직접 현재 시제로 작성해야 한다.
- 신규 소스, 빌드 등의 이력이 정호가하게 고나리되어 변경 또는 개선된 항목에 대한 이력 정보들도 작성되어야 한다.
- 릴리즈 노트 작성에 대한 표준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머릿말, 개요, 목적, 문제 요약, 재현 항목, 수정/개선 내용, 사용자 영향도, SW 지원 영향도, 노트, 면책 조항, 연락처 등이 포함된다.
*릴리즈 노트 추가 버전 작성 시 고려사항
- 소프트웨어의 테스트 과정에서 베타 버전이 출시되거나 긴급한 버그 수정, 업그레이드와 같은 자체 기능 향상, 사용자 요청 등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릴리즈 노트를 추가로 작성한다.
- 중대한 오류가 발생하여 긴급하게 수정하는 경우에는 릴리즈 버전을 출시하고 버그 번호를 포함한 모든 수정된 내용을 담아 릴리즈 노트를 작성한다.
- 소프트웨어에 대한 기능 업그레이드를 완료한 경우에는 릴리즈 버전을 출시하고 릴리즈 노트를 작성한다.
- 사용자로부터 접수된 요구사항에 의해 추가나 수정된 경우 자체 기능 향상과는 다른 별도의 릴리즈 버전으로 출시하고 릴리즈 노트를 작성한다.
*릴리즈 노트 작성 순서
1. 모듈 식별
- 모듈별 빌드 수행 후 릴리즈 노트에 작성될 내용들을 확인한다.
2. 릴리즈 정보 확인
- 릴리즈 노틀 이름, 소프트웨어 이름, 릴리즈 버전, 릴리즈 날짜, 노트 날짜, 노트 버전 등을 확인한다.
3. 릴리즈 노트 개요 작성
- 소프트웨어 및 변경사항 전체에 대한 간략한 내용을 작성한다.
4. 영향도 체크
- 버그나 이슈 관련 내용 또는 해당 릴리즈 버전에서의 기능 변화가 다른 소프트웨어나 기능을 사용하는데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기술한다.
5. 정식 릴리즈 노트 작성
- 머릿말, 개요, 영향도 체크 항목을 포함하여 정식 릴리즈 노트에 작성될 기본 사항들을 작성한다.
6. 추가 개선 항목 식별
- 추가 버전 릴리즈 노트 작성이 필요한 경우 추가 릴리즈 노트를 작성한다.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실기(2020 개정사항) (0) | 2020.06.08 |
---|---|
저작권,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0) | 2020.06.07 |
릴리즈 노트 (0) | 2020.06.06 |
소프트웨어 패키징 시 고려사항, 패키징 작업 순서 (0) | 2020.06.02 |
소프트웨어 패키징 (0) | 2020.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