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리 데이터 모델 설계

1. 물리 데이터 모델링이란

- 물리 데이터 모델링은 논리모델을 적용하고자 하는 기술에 맞도록 상세화해 가는 과정이다.

 

2. 물리 데이터 모델링 변화 절차

- 개체를 테이블로 변환 : 일반적으로 테이블과 개체 명칭을 동일하게 하는 것을 권고한다. 개체는 한글명을 사용하며, 테이블은 소스 코드의 가독성을 위해 영문명을 사용한다.

- 속성을 걸럼으로 변환 : 개발자와 사용자 간 의사소통을 위해 표준화된 약어를 사용하도록 권고한다. SQL 예약어 사용은 피해야 하며, SQL 문장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컬럼 명칭은 되도록 짧은 것을 권고한다. 컬럼명으로 복합단어를 사용할 경우 미리 정의된 표준에 의해 명명해야 한다.

- UID를 기본키로 변환 : 개체의 UID에 해당하는 모든 속성에 대해 기본키로 선언한다. Not Null, Unique 등의 제약조건을 추가로 정의한다. 관계에 의한 외래키가 기본키에 포함될 수 있다.

- 관계를 외래키로 변환 : 외래키명은 기본키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나 다른 의미를 가질 경우 변경이 가능하다. 순환 관계에서 자신의 기본키는 외래키로 정의한다.

- 컬럼 유형과 길이 정의 : 적절한 유형을 정의하고, 데이터의 최대 길이를 파악하여 길이를 설정한다.

  • CHAR : 최대 2,000 바이트의 고정 길이 문자열 저장이 가능하다.
  • VARCHAR2 : 최대 4,000 바이트의 가변 길이 문자열 저장이 가능하다.
  • NUMBER : 38 자릿수의 숫자 저장이 가능하다.
  • DATE : 날짜 값을 저장한다.
  • BLOB, CLOB : 바이너리(Binary), 텍스트 데이터 최대 4GB까지 저장 가능하다.

- 반 정규화 수행 : 시스템 성능 향상과 개발 및 운영의 단순화를 위해 데이터 모델을 통합하는 반 정규화를 수행한다.

  • 중복 테이블 추가 : 집계 테이블 추가, 특정 부분만 포함하는 테이블 추가 
  • 테이블 조합 : 1:1 관계 테이블 조합, 1:M 관계 테이블 조합, 슈퍼타입/서브타입 테이블 조합
  • 테이블 분할 : 수직 분할/수평 분할
  • 테이블 제거 : 테이블 재 정의, 접근하지 않는 테이블 제거
  • 컬럼 중복화 : 조인 성능 향상을 위한 중복 허용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