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패킷 스위칭
- 패킷 스위칭은 컴퓨터 네트워크와 통신의 방식 중 하나로 작은 블록의 패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만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하도록 하는 통신 방식이다.
- WAN을 통해서 데이터를 원격지로 송부하기 위해서 X.25, 프레임 릴레이 및 ATM과 같은 다양한 기술들을 사용한다.
# X.25
- 통신을 원하는 두 단말장치가 패킷 교환망을 통해 패킷을 원활히 전달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이다.
# 프레임 릴레이
- ISDN을 사용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ITU-T에 의해 표준으로 작성되었고 유연한 대역폭, 기능 단순화, 1~2계층 담당 및 가격이 저렴하다는 특징을 갖고있다.
# ATM ( Asynchronous Transfer Mode )
- 비동기 전송모드라고 하는 광대역 전송에 쓰이는 스위칭 기법이다.
- 동기화를 맞추지 않아 보낼 데이터가 없는 사용자의 슬롯은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네트워크상의 효율성을 높였다.
- ATM망은 연결형 회선이기 때문에 하나의 패킷을 보내 연결을 설정하게 되고 이후 실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진다.
- ATM은 OSI 7계층과는 다른 고유한 참조 모델을 갖고 있다.
반응형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MVC 패턴 (0) | 2020.08.04 |
---|---|
예약어, float와 double의 차이 (0) | 2020.08.01 |
반 정규화, 인덱스 분포도 (0) | 2020.07.20 |
요구사항 관련(분석, 명세 등) (0) | 2020.07.17 |
OSI 7계층, WAS, 비 기능적 요구사항, 요구사항 도출 (0) | 2020.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