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스프링 핵심 원리 기본편

  • 표준 인터페이스 : JPA
  • JPA 구현체들 : 하이버네이트, EclipseLink, 기타 등등..

# 스프링의 역사_전설의 시작

  • 2002년 로드 존슨 책 출간
  • EJB의 문제점 지적
  • EJB 없이도 충분히 고품질의 확장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30,000라인 이상의 기반 기술을 예제 코드로 선보임
  • 여기에 지금의 스프링 핵심 개념과 기반 코드가 들어가 있다.
  • BeanFactory, ApplicationContext, POJO, 제어의 역전, 의존관계 주입
  • 책이 유명해지고, 개발자들이 책의 예제 코드를 프로젝트에 사용.
  • 책 출간 직후 '유겐 휠러', '얀 카로프'가 로드 존슨에게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제안
  • 스프링의 핵심 코드의 상당수는 '유겐 휠러'가 지금도 개발
  • 스프링 이름은 전통적은 J2EE(EJB)라는 겨울을 넘어 새로운 시작이라는 뜻으로 지음 스프링(Spring)을 만들게 됨

 

# 스프링의 역사_릴리즈

  • 2003년 스프링 프레임워크 1.0 출시 - XML
  • 2006년 스프링 프레임워크 2.0 출시 - XML 편의 기능 지원
  • 2009년 스프링 프레임워크 3.0 출시 - 자바 코드로 설정
  • 2013년 스프링 프레임워크 4.0 출시 - 자바8
  • 2014년 스프링 부트 1.0 출시
  • 2017년 스프링 프레임워크 5.0, 스프링 부트 2.0 출시 - 리엑티브 프로그래밍 지원
  • 2020년 09월 현재 스프링 프레임워크 5.2.x, 스프링 부트 2.3.x

 

# 스프링이란?

## 스프링의 생태계

  • 스프링은 특정한 '하나'가 아니라 '여러 기술'들의 모음이다.
  • 스프링의 가장 핵심 : 스프링 프레임워크
  • 여러 스프링의 기술들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 스프링 부트
  • 그외 선택 항목 : 스프링 데이터, 스프링 세션, 스프링 시큐리티, 스프링 Rest Docs, 스프링 배치, 스프링 클라우드, 등등...
  • ( spring.io/projects 에서 다양한 그외 선택 항목들을 볼 수 있다. )

## 스프링 프레임워크

  • 핵심 기술 : 스프링 DI 컨테이너, AOP, 이벤트, 기타
  • 웹 기술 : 스프링 MVC, 스프링 WebFlux
  • 데이터 접근 기술 : 트랜잭션, JDBC, ORM 지원, XML 지원
  • 기술 통합 : 캐시, 이메일, 원격접근, 스케줄링
  • 테스트 : 스프링 기반 테스트 지원
  • 언어 : 코틀린, 그루비
  • 최근에는 스프링 부트를 통해서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기술들을 편리하게 사용

## 스프링 부트

  • 스프링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 최근에는 기본으로 사용 (스프링 부트만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스프링 부트를 사용하여 도와주는 것.)
  • 단독으로 실행할 수 있는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생성
  • Tomcat 같은 웹 서버를 내장해서 별도의 웹 서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됨
  • 손쉬운 빌드 구성을 위한 starter 종속성 제공
  • 스프링과 3rd parth(외부) 라이브러리 자동 구성
  • 메트릭, 상태 확인, 외부 구성 같은 프로덕션 준비 기능 제공
  • 관례에 의한 간결한 설정

## 스프링 단어?

  • 스프링이라는 단어는 문맥에 따라 다르게 사용된다.
스프링 DI 컨테이너 기술

스프링 프레임워크

스프링 부트, 스프링 프레임워크 등을 모두 포함한 스프링 생태계

## 스프링을 만든 이유?

### 스프링의 핵심 개념, 핵심 컨셉?

  •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DB 접근 편리하게 해주는 기술?
  •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 웹 서버도 자동으로 띄워주고?
  • 클라우드, 마이크로서비스?
  • 위 사항들은 핵심이 아닌 '결과물'

### 스프링의 진짜 핵심

  • 스프링은 자바 언어 기반의 프레임워크
  • 자바 언어의 가장 큰 특징 : '객체 지향 언어'
  • 스프링은 객체 지향 언어가 가진 강력한 특징을 살려내는 프레임워크
  • 정리 : 스프링은 좋은 객체 지향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프레임워크.

 

# 좋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 객체 지향의 특징

  • 추상화
  • 캡슐화
  • 상속
  • 다형성 (Polymorphism : 객체 지향의 핵심!!)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명렁어의 목록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여러개의 독립된 단위, 즉 '객체들의 모임'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각각의 객체는 '메시지'를 주고받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협력)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을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하게 만들기 때문에 대규모 소프트웨어 개발에 많이 사용된다.

##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하다?

  • 레고 블럭을 조립하듯이...
  • 키보드, 마우스를 갈아 끼우듯이...
  • 컴퓨터 부품을 갈아 끼우듯이...
  • 컴포넌트를 쉽고 유연하게 변경하면서 개발할 수 있는 방법

### 다형성의 실세계 비유

  • 실세계와 객체 지향을 1:1로 매칭할 순 없다. (맞지 않음)
  • 그래도 실세계의 비유로 이해하기에는 좋음.
  • 역할과 구현으로 세상을 구분
  • 예시
운전자 - 자동차

공연 무대

키보드, 마우스, 세상의 표준 인터페이스들

정렬 알고리즘

할인 정책 로직

### 다형성의 예제 1

  • 자동차의 '역할'을 3개(K3, 아반떼, 테슬라 모델3)의 다른 자동차들이 '구현'.
  • 이때 운전자가 K3를 운행하다가 다른 차로 바꿨을 경우 운전 가능여부 : 가능 (자동차의 '역할'에 대한 '구현'만 바뀌었기 때문)
  • 자동차가 바뀌어도 운전자에게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 운전자(클라이언트)가 자동차의 내부 구조를 몰라도 된다. 자동차의 구조가 내부적으로 바뀌더라도 자동차의 역할만 하고 있으면 운전자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 클라이언트에게 영향을 주지 않고, 새로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역할과 구현으로 세상을 구분했기 때문에 가능하다.

### 다형성의 예제 2

  • 공연을 할 때에는 배우는 대체가 가능해야 한다.
  • '역할'과 '구현'을 나누면, 변경 가능한 '대체 가능성'이 생긴다.
  • 이게 바로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함'

## 역할과 구현을 분리

  • 역할구현으로 구분하면 세상이 단순해지고, 유연해지며 변경도 편리해진다.
  • 역할과 구현을 분리 하는것의 장점
'클라이언트'는 대상의 역할(인터페이스)만 알면 된다.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의 '내부 구조를 몰라도' 된다.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의 '내부 구조가 변경'되어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 자체를 변경'해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 역할과 구현을 분리 (자바 언어)

  • 자바 언어의 다형성을 활용
역할 = 인터페이스

구현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 구현 객체
  • 객체를 설계할 때 역할과 구현을 명확히 분리
  • 객체 설계시 역할(인터페이스)을 먼저 부여하고, 그 역할을 수행하는 구현 객체 만들기

## 객체의 협력이라는 관계부터 생각

  • 혼자 있는 객체는 없다.
  • 클라이언트 : 요청 / 서버 : 응답
  • 수 많은 객체 클라이언트와 객체 서버는 서로 협력 관계를 가진다.

## 자바 언어의 다형성

  • 오버라이딩을 떠올려보자
# 메소드 오버라이딩
서브 클래스 또는 자식 클래스가 자신의 슈퍼클래스들 또는 부모 클래스들 중 하나에 의해
이미 제공된 메소드를 특정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제공하는 언어의 특징
  • 오버라이딩은 자바 기본 문법
  • 오버라이딩 된 메서드가 실행
  • 다형성으로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를 실행 시점에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 물론 클래스 상속 관계도 다형성, 오버라이딩 적용 가능

## 다형성의 본질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 인스턴스를 실행 시점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 다형성의 본질을 이해하려면 협력이라는 객체사이의 관계에서 시작해야 한다.
  • 클라이언트를 변경하지 않고, 서버의 구현 기능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 역할과 구현을 분리_정리

  • 실세계의 역할과 구현이라는 편리한 컨셉을 다형성을 통해 객체 세상으로 가져올 수 있다.
  • 이로인해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 확장 가능한 설계, 클라이언트에 영향을 주지 않는 변경 가능, 인터페이스를 안정적으로 잘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 역할과 구현을 분리_한계점

  • 역할(인터페이스) 자체가 변하면, 클라이언트, 서버 모두에 큰 변경이 발생한다.
  • 자동차를 비행기로 변경해야 한다면?
  • 대본 자체가 변경된다면?
  • USB 인터페이스가 변경된다면?
  • 인터페이스를 안정적으로 잘 설계하는 것이 중요

 

# 스프링과 객체 지향

  • 다형성이 가장 중요하다. (스프링의 꽃?)
  • 스프링은 다형성을 극대화해서 이용할 수 있게 도와준다.
  • 스프링에서 이야기하는 제어의 역전(IoC), 의존관계 주입(DI)은 다형성을 활용해서 역할과 구현을 편리하게 다룰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스프링을 사용하면 마치 레고 블럭 조립하듯이! 공연 무대의 배우를 선택하듯이! 구현을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출처 : 인프런 스프링 핵심 원리 기본편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