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입출력과 사직연산
## 2557_Hello World!를 화면에 출력 문제1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World!");
}
}
## 10718_주어진 예제처럼 출력하는 문제 2
- 두 줄에 걸쳐 "강한친구 대한육군"을 한 줄에 한 번씩 출력한다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강한친구 대한육군");
System.out.println("강한친구 대한육군");
}
}
## 10171_주어진 예제처럼 출력하는 문제 3
- 고양이를 출력한다.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 /\\");
System.out.println(" ) ( ')");
System.out.println("( / )");
System.out.println(" \\(__)|");
}
}
## 10172_주어진 예제처럼 출력하는 문제 4
- 개를 출력한다.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_/|");
System.out.println("|q p| /}");
System.out.println("( 0 )\"\"\"\\");
System.out.println("|\"^\"` |");
System.out.println("||_/=\\\\__|");
}
}
## 1000_두 수를 입력받고 합을 출력하는 문제
-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첫째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 (0 < A, B < 10)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a = sc.nextInt();
int b = sc.nextInt();
System.out.println(a+b);
}
}
## 1001_두 수를 입력받고 뺄셈을 한 결과를 출력하는 문제
-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첫째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 (0 < A, B < 10)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a = sc.nextInt();
int b = sc.nextInt();
System.out.println(a-b);
}
}
## 10998_곱셈 문제
-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첫째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 (0 < A, B < 10)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a = sc.nextInt();
int b = sc.nextInt();
System.out.println(a*b);
}
}
## 1008_나눗셈 문제.
-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첫째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 (0 < A, B < 10)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double a = sc.nextDouble();
double b = sc.nextDouble();
System.out.println(a/b);
}
}
## 10869_모든 연산 문제
- 두 자연수 A와 B가 주어진다. 이때, A+B, A-B, A*B, A/B(몫), A%B(나머지)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두 자연수 A와 B가 주어진다. (1 ≤ A, B ≤ 10,000)
- 첫째 줄에 A+B, 둘째 줄에 A-B, 셋째 줄에 A*B, 넷째 줄에 A/B, 다섯째 줄에 A%B를 출력한다.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a = sc.nextInt();
int b = sc.nextInt();
System.out.println(a+b);
System.out.println(a-b);
System.out.println(a*b);
System.out.println(a/b);
System.out.println(a%b);
}
}
## 10926_입출력을 응용하는 문제??!
- 첫째 줄에 준하가 가입하려고 하는 사이트에 이미 존재하는 아이디가 주어진다. 아이디는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는 50자를 넘지 않는다.
- 첫째 줄에 준하의 놀람을 출력한다. 놀람은 아이디 뒤에 ??!를 붙여서 나타낸다.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String temp = sc.next();
System.out.println(temp + "??!");
}
}
## 18108_식을 직접 세워서 계산하는 문제
- 서기 연도를 알아보고 싶은 불기 연도 y가 주어진다. (1000 ≤ y ≤ 3000)
- 불기 연도를 서기 연도로 변환한 결과를 출력한다.
- 서기 > 불기로 변환 시 + 544, 반대로 불기 > 서기로 변환 시 -544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year = sc.nextInt();
int cal = year - 543;
System.out.println(cal);
}
}
## 10430_네 개의 계산식을 계산하는 문제. 이 문제를 푼 다음에는 직접 입력을 만들어서 넣어 봅시다. 어떤 사실을 관찰할 수 있나요?
- (A+B)%C는 ((A%C) + (B%C))%C 와 같을까?
- (A×B)%C는 ((A%C) × (B%C))%C 와 같을까?
- 세 수 A, B, C가 주어졌을 때, 위의 네 가지 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첫째 줄에 A, B, C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2 ≤ A, B, C ≤ 10000)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um1 = sc.nextInt();
int num2 = sc.nextInt();
int num3 = sc.nextInt();
int cal1 = ((num1 + num2) % num3);
int cal2 = (((num1 % num3) + (num2 % num3)) % num3);
int cal3 = ((num1 * num2) % num3);
int cal4 = ((num1 % num3) * (num2 % num3) % num3);
System.out.println(cal1);
System.out.println(cal2);
System.out.println(cal3);
System.out.println(cal4);
}
}
## 2588_빈 칸에 들어갈 수는?
- (세 자리 수) × (세 자리 수)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 (1)과 (2)위치에 들어갈 세 자리 자연수가 주어질 때 (3), (4), (5), (6)위치에 들어갈 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첫째 줄에 (1)의 위치에 들어갈 세 자리 자연수가, 둘째 줄에 (2)의 위치에 들어갈 세자리 자연수가 주어진다.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um = sc.nextInt();
String str = sc.next();
int size = str.length();
char[] arr = new char[size];
for (int i = 0; i < size; i++) {
arr[i] = (str.charAt(i));
}
for (int k = arr.length-1; k >= 0; k--){
System.out.println(num * Character.getNumericValue(arr[k]));
}
System.out.println(num * Integer.parseInt(str));
}
}
반응형
'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 백준, 구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_for문 (0) | 2022.03.11 |
---|---|
백준_if문 (0) | 2022.03.10 |
[구름] 클래스 맴버, 인스턴스 맴버, 클래스 변수 (0) | 2020.11.13 |
[구름] 객체화, 클래스, 인스턴스 (0) | 2020.11.13 |
[구름]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0) | 2020.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