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개발 프로젝트의 종류

1. 차세대 (Next Generation)

  • 전체 시스템을 새로 만드는 프로젝트.

2. 고도화 (Transformation)

  • 기존 시스템을 유지하되, 대폭적인 구조 개선, 기능 개선 및 추가를 진행하는 프로젝트.

3. 유지보수 (Maintenance 또는 Management)

  • 현재 상태를 유지 (고장수리/예방), 추가로 기능 및 성능의 일부 개선을 진행하는 프로젝트.

4. 통합시스템 구축 (Integration)

  • 여러 시스템을 하나로 합쳐서 구축하는 프로젝트 (주로 기업 합병에 따라 진행).

출처 : https://zetawiki.com/wiki/%EC%B0%A8%EC%84%B8%EB%8C%80,_%EA%B3%A0%EB%8F%84%ED%99%94,_%EC%9C%A0%EC%A7%80%EB%B3%B4%EC%88%98,_%ED%86%B5%ED%95%A9%EC%8B%9C%EC%8A%A4%ED%85%9C%EA%B5%AC%EC%B6%95_%ED%94%84%EB%A1%9C%EC%A0%9D%ED%8A%B8

 

차세대, 고도화, 유지보수, 통합시스템구축 프로젝트 - 제타위키

다음 문자열 포함...

zetawiki.com

 

반응형

'메모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SR, RFP, SFR  (0) 2022.04.19
PMD  (0) 2022.03.30
3오즈 리포트 다자이너(OZ Report Designer), 오즈 쿼리 디자이너(OZ Query Designer)  (0) 2021.12.29
DBeaver csv 파일 가져오기, 내보내기  (0) 2021.09.07
DBeaver 설치방법  (0) 2021.09.06
반응형

# 오즈 리포트 디자이너

## 리포지토리 연결&체크아웃

  • 리파지토리 연결 : 리파지토리 탭 > 리파지토리 열기 클릭 후 서버 추가 후 서버 정보 입력하여 연결 진행.
  • 리파지토리 연결한 경우 작업 전 작업 하려는 폴더를 선택 후 작업 폴더에 체크아웃 받아서 작업 진행.

## 오즈 리포트 디자이너 사용밥법

  • 파일 생성 : 새로 만들기 클릭하여 새 파일 생성
  • 용지 크기 설정 : 페이지 레이아웃 탭 > 용지 크기에서 용지 크기 설정
  • 밴드추가 : 밴드 추가 탭 > 데이터 밴드 클릭 후 우측에 페이지 빈 공간 클릭하여 추가, 그리고 밴드 크기잡아주기(밴드가 존재해서 데이터 넣을수 있고 미리보기 시 데이터 들어간것등 확인 가능한것같음, 타이틀 등 페이지 밴드는 선택사항임)
  • 페이지 틀 설정 : 생선한 페이지 빈곳 클릭 후 좌측 하단에 속성탭에서 페이지 여백 등 필요한 설정 진행. (컴포넌트 추가 후 추가된 컴포넌트 클릭하여 컴포넌트에도 마찬가지로 설정 진행, 고정 테이블은 속성에서 동적 탭에 있는 항목(자동 크기조정, 자동크기 줄어듬, 자동 줄바꾸기 등) 많이 사용함.
  • 컴포넌트 추가 : 컴포넌트 추가 탭 > 라벨을 추가하거나, 고정테이블 추가(고정 테이블 추가해서 셀병합, 셀분할로 작업하는게 깔끔함)
  • 데이터 연결(odi) : 데이터 정보 > 데이터 트리 우 클릭 후 odi 추가 선택 후 작업한 odi 파일 선택 하여 추가 진행. (추가 완료 했으면 페이지 빈 공간 클릭 후 왼쪽 하단에 있는 속성에서 데이터에 ODI이름, 데이터셋 항목 클릭하여 추가한 odi로 설정.
  • 데이터 넣기 : 왼쪽 데이터 정보 클릭 후 연결된 odi에서 원하는 컬럼값을 드래그 앤 드롭으로 원하는 고정테이블 셀 또는 라벨에 넣어주면 된다.
  • odi로 넘길 값 설정(더미 값 등) : 데이터 정보에서 OZParam에 값 추가 후 해당 값 클릭 후 속성에서 필드타입, 필드 값(더미 값 필요할 경우 넣기) 넣기
  • 작업 Tip!! 양식 작성할때 컴포넌트 추가에서 고정 테이블을 데이터밴드에 생성 후 분할, 병합해가면서 작업하면 깔끔한 문서를 만들수 있다.

## 이미지 넣는방법

  • odi 이미지경로를 갖고있는 컬럼 추가 (경로의 경우 로컬경로 : 예) /APP 하위 등으로 설정)
  • ozr에서 라벨 추가, 데이터 형태를 데이터, odi에서 경로 갖고있도록 한 필드 설정, 투명도 등 설정.

# 오즈 쿼리 디자이너

  • DB 연결 : 좌측 데이터베이스 우 클릭 후 스토어 추가 선택,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 입력하여 연결
  • 연결된 db에서 사용할 테이블 선택하여 쿼리작업 등 진행쿼리작업을 하려면 (초기에는 보통 디자인뷰로 선택 되어 있는데, 쿼리 작업을 하려면 매뉴얼 버튼을 클릭해야한다.)
  • 사용자 지정 파라미터 : 조건절 등에 사용할 파라미터 설정, 값에 테스트 값을 넣고 실행하면 쿼리 실행 결과 확인 가능. 왼쪽 상단 리스트에서 사용자 지정 파라미터 우클릭하여 파라미터 설정 진입, 이름&타입&값 설정하여 추가.(쿼리에서 사용방법은 '#OZParam.설정한파라미터명' 으로 사용한다.)
  • 작업 완료 후 실행 탭 > 쿼리문 실행 후 저장

반응형

'메모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D  (0) 2022.03.30
개발 프로젝트의 종류  (0) 2022.01.08
DBeaver csv 파일 가져오기, 내보내기  (0) 2021.09.07
DBeaver 설치방법  (0) 2021.09.06
오라클 프로시저 실행, DBMS_OUTPUT.PUT_LINE  (0) 2021.07.30
반응형

# DBeaver csv 파일 가져오기, 내보내기

  • csv 파일 준비 후 작업 진행

## csv 파일 가져오기

  • csv 파일 내 데이터 헤더와 동일한 이름의 칼럼으로 된 테이블 준비.
  • 해당 테이블 우 클릭 > 데이터 가져오기 > csv에서 가져오기 선택하여 가져올 csv 파일 

  • 선택 후 아래와 같이 파일명 등 확인 가능 여기서 인코딩 형식 utf-8로 설정

  • 다음 화면에서 올바르게 맵핑 되었는지 확인

  • 다음 > start 하여 csv 파일 데이터 가져오기 진행.

## csv 파일로 내보내기

  • select 쿼리를 이용하여 조회된 데이터를 복사하여 붙여넣는 방법이 있고, 테이블의 데이터를 csv 파일로 내보내는 방법이 존재한다. (아래는 csv 파일로 내보내는 방법)
  • csv 파일로 내보내고자 하는 테이블 우클릭 > 데이터 내보내기 > csv 파일로 내보내기(다른 형식의 파일로도 내보낼수 있음) 
  • 아래 화면에서 인코딩 형식 utf-8로 설정 후 다음 클릭 후 start 하면 내보내기 완료.

반응형
반응형

# DBeaver

  • 자바/이클립스 기반으로 개발된 DB 툴로 윈도우, 리눅스, 맥 환경에서 구동 가능하다.
  • 무료로 사용 가능 (Community Edition)
  • 다양한 DB 지원. (오라클, MySQL, MariaDB, Postgre 등등)

## DBeaver 설치방법

 

Download | DBeaver Community

Download Tested and verified for MS Windows, Linux and Mac OS X. Install: Windows installer – run installer executable. It will automatically upgrade version (if needed). MacOS DMG – just run it and drag-n-drop DBeaver into Applications. Debian package

dbeaver.io

  •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운영체제에 맞는 버전 다운로드. (윈도우 10의 경우 윈도우 64비트로 설치)
  • 언어 선택하여 설치 가능하다. (한국어/영어 등등)

## DB 연결하기

  • 설치한 DBeaver 실행, 좌측 상단 연결 버튼 클릭.

  • 연결 버튼을 선택 후 연결하고자 하는 DB 클릭

  • 아래와 같이 접속하려는 DB의 접속정보 입력하여 DB 접속 진행

## SQL 편집기 여는 방법

  • 상단 SQL > SQL 편집기 클릭하여 SQL 편집기 실행 가능.

## DBeaver 테마 변경

1. 테마 설정 (다크, 라이트).

  • 어두운 바탕을 원할 경우 아래와 같이 테마 변경 가능하다.
  • 상단 윈도우 > 설정 > 모양에서 원하는 테마 선택. (모양 더블클릭 시 색상 및 글꼴도 변경 가능)

  • 아래와 같이 다크 테마 적용 가능.

2. 글꼴 변경 (크기, 색상 등)

  • 상단 윈도우 > 설정 > 모양 > 색상 및 글꼴 > 기본 > 텍스트 글꼴 선택 후 편집 클릭하여 글꼴 변경.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