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뷰

  • 뷰는 단지 뷰의 정의만 가지고 있고, 실제 데이터를 갖고 있지 않다.
  • 질의에서 뷰가 사용되면 뷰의 정의를 참조하여 데이터베이스 내부적으로 질의를 재작성하여 수행한다.
  • 위에서 언급했듯이 뷰는 실제 데이터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테이블이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가상 테이블' 이라고도 한다.

## 뷰의 장점

1. 독립성

  • 테이블 구조가 변경되어도 뷰를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은 변경되지 않는다.

2. 편리성

  • 복잡한 질의를 뷰로 생성하면 관련 질의를 단순하게 작성 할수 있다.

3. 보안성

  • 숨기고 싶은 민감 정보 등이 존재하면 뷰 생성 시 해당 컬럼을 빼고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감출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 제약조건

  •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보편적인 방법이 제약조건 설정이다.

1. 기본키 (PRIMARY KEY)

  • 기본키는 하나의 테이블에 한 개만 지정 가능하다.
  • 자동으로 UNIQUE 인덱스를 생성하며, NULL 값의 입력은 불가능하다.
  • 기본키 제약조건 = 고유키 & NOT NULL 제약조건

2. UNIQUE KEY

  • 행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고유키로 NULL 값이 가능하다.

3. NOT NULL

  • NULL 값의 입력을 금지하는 제약조건이다.

4. CHECK

  • 입력할 수 잇는 값의 범위 등을 제한하는 제약조건으로 TRUE 또는 FALSE의 논리식을 지정한다.

5. 외래키 (FOREIGN KEY)

  • 참조 무결성 옵션 선택이 가능하다.

 

# NULL의 의미

  • 공집합, 0, 공백과는 다른, 정의되지 않은 미지의 값 또는 데이터 입력을 못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반응형
반응형

# 데이터 모델링의 세 가지 요소

  1. 업무가 관여하는 어떤 것 (Things) : 사물이나 사건 등을 바라 볼 때, 전체를 지칭하는 용어
  2. 어떤 것이 가지는 성격 (Attributes) : 어떤 것이 가는 세부적인 사항
  3. 업무가 관여하는 어떤 것 간의 관계 (Relationships) :다른 어떤것과 연관성을 가질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
  • 위 세 가지는 데이터 모델링을 완성해 가는 핵심 개념으로, 엔터티, 속성, 관계 로 인식된다.
반응형
반응형

# PMI (Privilege Management infrastructure)

  • 권한 관리 기반구조.
  • 속성 인증서(AC:Attribute Certificate) 발급, 저장, 유통을 제어하는 권한 관리 자원과 소유자 간 관계를 신뢰기관이 보증, 유지하는 권한 관리 기반구조.

## PMI의 구성

1. SOA (Source of Authority)

  • PKI의 루트 CA와 유사한 역할로 권한 검증자가 무조건 신뢰한다.

2. AA (Attribute Authority)

  • SOA로 부터 권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위임받아 인증서 발급 업무를 수행한다.

3. 권한 소유자 (Privilege Holder)

  • 인증서를 통해 AA로부터 권한에 대한 소유권을 보증 받은 자

4. 권한 검증자 (Privilege Verifier)

  • 속성 인증서로 사용자의 권한을 인증한다.

 

반응형

'자격증 > 정보보안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Factor 인증  (0) 2021.07.21
FTP, FTP의 종류, FTP 접근통제 파일  (0) 2021.07.21
Agent 방식과 Agentless 방식  (0) 2021.07.19
NAC (Network Access Control)  (0) 2021.07.19
UTM  (0) 2021.07.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