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부트 스트랩

  • 웹사이트를 쉽게 만들 수 있게 도와주는 HTML, CSS, JS 프레임워크이다.

## 설치방법

 

Download

Download Bootstrap to get the compiled CSS and JavaScript, source code, or include it with your favorite package managers like npm, RubyGems, and more.

getbootstrap.com

## 사용 전 적용

  • 다운받은 부트스트랩 압축파일을 스프링의 경우 resource 아래에 신규 폴더를 생성하여 넣어준다.

  • 넣어준 자료를 head 등에서 다음과 같이 불러온다.
<!-- 부트스트랩 css 사용 -->
<link rel="stylesheet" href="/resource/css/bootstrap.css">

<!--  부트스트랩 js 사용 -->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resource/js/bootstrap.js"></script>

## 사용 방법

https://startbootstrap.com/

 

Free Bootstrap Themes, Templates, Snippets, and Guides

Start Bootstrap develops free to download, open source Bootstrap 4 themes, templates, and snippets and creates guides and tutorials to help you learn more about designing and developing with Bootstrap.

startbootstrap.com

혹은 부트스트랩 무료 탬플릿 등 검색을 통해 사용하고자 하는 무료 탬플릿을 다운받는다.

받은 자료를 복사 하여 resource 아래에 복사 후 사용

 

참고 https://coding-factory.tistory.com/40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스 코드 리팩토링(Refactoring)  (0) 2020.08.27
textarea의 placeholder 줄바꿈 방법  (0) 2020.08.27
레디스(Redis)  (0) 2020.08.25
깃허브(github)에 이미지 올리기  (0) 2020.08.25
엑셀 데이터 MySQL에 등록하기  (0) 2020.08.21
반응형

# 레디스 (Redis : Remote Dictionary Server)

  • 키-값 구조의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오픈 소스 기반의 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이다. 모든 데이터를 메모리로 불러와서 처리하는 메모리 기반의 DBMS이다.
  • 캐시를 지원해주는 솔루션 중의 하나

## 설치 방법

 

Releases · microsoftarchive/redis

Redis is an in-memory database that persists on disk. The data model is key-value, but many different kind of values are supported: Strings, Lists, Sets, Sorted Sets, Hashes - microsoftarchive/redis

github.com

## 실행

  • C:\Program Files\Redis 의 Redis-cli 클릭하여 실행
  • keys * 입력 시 레디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볼 수 있다. (초기에는 비어있음)

## 사용 용도 & 사용방법

  • 세션 값 저장 등에 사용한다.
  • 레디스 등을 미사용 할 경우 사이트 재 배포 등의 상황 발생 시 기존에 로그인 된 고객들이 모두 로그아웃된다. 하지만, 레디스를 사용하여 세션 값을 저장해 둘 경우 재 배포 등의 상황이 발생해도 기존 이용 고객들의 세션이 별도로 저장되어 모두 로그아웃 되는 등의 상황을 방지(로그인 유지)할 수 있다.
  • 그리고 자주 사용하는 값을 저장해두면 성능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 pom.xml / application.yml

  • 자바 스프링에서 사용하기 위해 아래 입력( 세션을 레디스에 저장 )
  • pom.xml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data-redis</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session</groupId>
  <artifactId>spring-session-data-redis</artifactId>
  <version>2.3.0.RELEASE</version>
</dependency>
  • application.yml
redis:
    host: localhost
    port: 6379
  session:
    timeout: 600	// 작동 시간 : 10시간
    store-type: redis	// 세션을 redis에 저장하겠다는 의미
    redis:
      flush-mode: on-save
      namespace: spring:session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xtarea의 placeholder 줄바꿈 방법  (0) 2020.08.27
부트 스트랩  (0) 2020.08.26
깃허브(github)에 이미지 올리기  (0) 2020.08.25
엑셀 데이터 MySQL에 등록하기  (0) 2020.08.21
카카오 api 사용방법 (카카오맵)  (0) 2020.08.18
반응형

# 깃허브에 이미지 올리기

  • 원하는 프로젝트 저장소 클릭
  • Issues > New Issues 클릭
  • 'Leave a comment' 부분에 이메일 첨부 진행(드래그 앤 드랍 가능) 후 Submit new issue 클릭하여 업로드 진행
  • 업로드 완료 후 업로드한 내용 클릭 후 edit 누르면 링크를 알수 있는데 이를 이용해서 원하는 곳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 README.md 에 복사한 링크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트 스트랩  (0) 2020.08.26
레디스(Redis)  (0) 2020.08.25
엑셀 데이터 MySQL에 등록하기  (0) 2020.08.21
카카오 api 사용방법 (카카오맵)  (0) 2020.08.18
챗봇이란?  (0) 2020.08.17
반응형

# 엑셀 데이터 MySQL에 등록하기

## 준비물

 

MySQL :: MySQL Workbench

MySQL Workbench is a unified visual tool for database architects, developers, and DBAs. MySQL Workbench provides data modeling, SQL development, and comprehensive administration tools for server configuration, user administration, backup, and much more. My

www.mysql.com

## 진행방법

### DB 연결

  • Workbench 실행 
  • MySQL Connections 옆 + 표시 클릭 후 각 항목 입력
  • port, username과 password는 MySQL과 동일하게 입력

 

### CSV 파일

  • 데이터 내에 콤마( , )가 존재하는지 확인 한다. 콤마의 경우 csv파일의 구분자로 인식하여 임포트 진행 시 값이 밀릴 수 있다.
  • MySQL Workbench의 Import Wizard는 csv, json 형식의 파일만을 지원, 엑셀 통합문서 형식(.xlsx)은 임포트 할 시트만 따로 csv 파일로 분리하여 저장해야 한다.
  • 코드의 첫 자리가 0 으로 시작되는 경우 종종 데이터가 생략되는 등 부정확한 데이터로 변환되는 문제가 발생.

### 엑셀 CSV 파일 변환방법

  • 엑셀 파일 실행 > 다른이름으로 저장 > 파일 형식에서 CSV 클릭 후 저장. (단일 시트만 가능)

### 데이터 임포트

  • Workbench에 등록한 MySQL 클릭 > 좌측 schemas에서 프로젝트 우클릭 후 Table data wizard 클릭 > csv파일 선택 > select destination 에서 첫번째 선택항목 클릭하여 입력할 테이블 선택 > 임포트 관련 설정 창에서 설정표시 클릭하여 csv의 구분자 등  설정을 조정 > 완료

## 진행방법2

csv파일 생성 후 mysql에서 아래 쿼리 입력하여 실행

LOAD DATA INFILE  "저장위치/파일명" INTO TABLE `테이블 이름` FIELDS TERMINATED BY '구분자 기호'
LOAD DATA INFILE  "abc.csv" INTO TABLE `organ` FIELDS TERMINATED BY ','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디스(Redis)  (0) 2020.08.25
깃허브(github)에 이미지 올리기  (0) 2020.08.25
카카오 api 사용방법 (카카오맵)  (0) 2020.08.18
챗봇이란?  (0) 2020.08.17
프레임워크, 프로그래밍 언어, 라이브러리  (0) 2020.08.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