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AJAX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 비동기 통신을 위한 기술들 간의 연계(묶음)을 의미 (자바스크립트 그리고 XML) 

## AJAX 적용 전..

  • 기존 웹 애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 내에서 폼에 입력을 하고, 입력된 값을 웹 서버로 sumit하여 요청을 하였고, 웹 서버는 요청에 대해 데이터를 가공하여 새로운 웹 페이지를 작성하고 응답을 되돌려 주었다.
  • 이렇게 하면 결과적으로 중복되는 HTML 코드를 재 전송을 받음으로써 대역폭을 낭비하게 된다.
  • 대역폭의 낭비는 곧 금전적 손실을 야기할 수 있어 상호 반응하는 서비스를 만들기 어렵게 한다.
  • 정리 : 사용자가 요청을 하면 서버에서는 응답에 따른 처리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전송( 매번 요청 시 매번 새로운 데이터 전송하여 다시 화면을 구성하기때문에 느리다. )

## AJAX 적용

  • AJAX의 경우 필요한 데이터만 웹 서버에 요청해서 받은 후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할 수 있다.
  • 보통 SOAP, XML 기반의 웹 서비스 프로토콜이 사용되며, 웹 서버의 응답을 처리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에서는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한다. 
  • 웹 서버에서 전적으로 처리되던 데이터 처리의 일부분이 클라이언트 쪽에서 처리 되므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사이에 교환되는 데이터량과 웹서버의 데이터 처리량도 줄어들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의 응답성이 좋아진다.
  • 웹서버의 데이터 처리에 대한 부하를 줄여주는 일이 요청을 주는 수많은 컴퓨터에 대해서 일어나기 때문에 전체적인 웹 서버 처리량도 줄어들게 된다.
  • 정리 : 사용자가 요청을 하면 자바스크립트 함수가 자바스크립트 내에 있는 Ajax 브라우저 엔진을 통해 이를 요청 (이때, 필요한 부분의 데이터만 요청) 하면 web and/or XML 서버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필요한 자료만 프로세싱을 통해 가져오게 된다.

## AJAX 장점

  • 페이지 이동없이 고속으로 화면 전환이 가능하다.
  • 서버 처리를 기다리지 않고, 비동기 요청이 가능하다.
  • 수신 데이터의 양을 줄일 수 있고, 클라이언트에게 처리를 위임할 수 있다.

## AJAX 단점

  • Ajax를 쓸 수 없는 브라우저에 대한 문제
  • HTTP 클라이언트의 기능 한정
  • 페이지 이동없는 통신으로 인한 보안상의 문제
  • 지원하는 Charset이 한정되어 있다.
  • 스크립트로 작성되므로 디버깅이 용이하지 않다.
  • 요청을 남발하면 역으로 서버 부하가 늘 수 있다.

## AJAX 적용 후 확인 방법

  • AJAX를 적용 후 확인할 때는 크롬의 경우 F12 클릭 후 Network 내 XHR에서 AJAX 관련 통신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 href컨텍스트 경로 가져오는 방법

  • href에 컨텍스트 이름(경로) 설정을 통해 서블릿, JSP를 가져오는 방법에 대한 정리

## 경로 직접 입력하여 가져오기

  • 컨텍스트 이름(경로)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다.
  • 전체 경로를 직접 입력할 경우 변동사항 발생 시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a href="test/resource/common.css">

## getContext() 를 이용하여 가져오기

  • getContext() 라는 매서드를 사용하여 가져오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다.
  • getContext를 사용할 경우 컨텍스트 경로를 잘 가져오지만, 자바 코드가 사용되는것이라 코드가 지저분하게 보일 수 있다.
<a href="<%=request.getContextPath() %>/resource/common.css">

## ${pageContext.request.contextPath} 이용하여 가져오기

  • 자바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경로를 가져오는 방법으로 주로 사용된다.
<link rel="stylesheet" href="${pageContext.request.contextPath}/resource/common.css">
반응형
반응형

# 아이오닉(IONIC) 이란?아이오닉(IONIC framework) 프레임워크란?

  • 아이오닉(Ionic)은 하이브리드 모바일 앱 개발을 위한 완전 오픈소스 SDK이다.
  • 최초 버전은 앵귤러JS와 아파치 코도바로 제작, 최신버전은 앵귤러, 리액트, 뷰.js와 같은 어떤한 유저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라도 고를 수 있도록 웹 컴포넌트의 하나로서 재제작 되었다.
  • CSS, HTML5, Sass와 같은 웹 기술을 사용하여 현대적인 웹 개발 기술과 관행을 기반으로 한 하이브리드 모바일, 데스크톱 및 프로그레시브 웹 앱을 개발하기 위한 도구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 특히, 모바일 앱은 이러한 웹 기술로 제작한 다음 코도바나 캐파시터를 이용해 네이티브 앱 스토어를 통해 배포하여 기기에 설치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 GIT warning: LF will be replaced by CRLF

## 해결방법

  • core.autocrlf 기능 끄기
  • $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false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