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스프링 개발환경 설정

## 워크스페이스 지정

## 설정

  • 스프링 실행 상단 Windows > Preferences 클릭
  • files 검색 후 JSON Files / CSS FIles / JSP Files / XML Files > Encoding 방식 UTF-8 로 변경
  • Workspace 검색 후 하단에 Text file encoding > Other > UTF-8 로 변경
  • font 검색 후 Basic > Text Font 클릭 후 Edit > 글꼴 D2Coding / 폰트 사이즈 임의로 변경
  • vm 검색 후 Installed JREs > installed JREs 목록에 jre 클릭 후 Edit > 상단에 C:\Program Files\Java\jre1.8.0_251를 C:\Program Files\Java\jdk1.8.0_251로 변경 / 상단에 jre1.8.0_251 를 jdk1.8.0_251 로 변경 ( jre는 자바 실행 환경, 보통 jdk 안에는 jre가 내장되어 있다. )
  • Emmet 설치 : help > install > work with 부분 클릭 후 우측에 add > name에 Emmet 입력, location에 emmet.io/eclipse/updates 입력 후 add > emmet 나오면 체크박스 클릭 > next > next > 동의 후 finish > install anyway > restart ( Emmet는 div*4 tab 등 입력 시 자동 생성 되도록 도와주는 것 )
  • windows > Preferences 클릭
  • emmet 검색 > ...in files with extensions 옆 항목 맨 끝에 , jsp, jspf 추가

 

## 추가 세팅

  • c드라이브 > 사용자 > .m2 > repository > org > projectlombok > lombok > 가장 최신버전 클릭 > jar 파일 실행 > lombok installer 실행되면 밑에 specify location 클릭 > 설치한 이클립스(sts) 경로 찾아가서 SpringToolSuite4.exe 선택 후 잘 등록되었는지 확인 후 우측 하단 install / update 클릭
  • 완료되면 모두 종료, 스프링도 file > restart 클릭 (해당 항목에 없는 경우(숨겨진 경우) 아래처럼 입력하여 진행)

기존경로\.m2 입력

  • (가장 최신버전 클릭 후 jar 파일 실행하는데, jar파일로 안나오고 알집인 경우 아래처럼 실행)

1. 상단 경로에 cmd 입력 후 엔터 
cmd 창에 java -jar lom 입력 후 tab 누르면 자동으로 생성 후 엔터

 

## 프로젝트 생성

## 자바 프로젝트 생성의 경우

  • file > new > Create new Spring starter Project > next
  • Available 에 web 입력 후 Web 항목의 Spring Web 체크 / lom 입력 후 Developer Tools 항목의 Lombok 체크 / My 입력 후 MyBatis Framework, MySQL Driver 체크 / dev 입력 후 Developer Tools 항목의 Spring Boot DevTools 체크
  • 위 사항들 체크 후 next > finish (초기 설정 시 Maven을 통해 자료들을 받아오느라 오래 걸린다.)
  • (두번째 프로젝트 생성 시에는 사용자의 폴더 내에 있는 .m2에 필요한 외부 의존성 설정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어서 오래걸리지 않는다.) 

 

## 서블릿, jsp 프로젝트 생성의 경우

  • file > new > other > dynamic web project 클릭 project name 입력 ( 예) blog )
  • target runtime(실행환경) 항목의  new runtime 클릭 > 톰캣 설치 된 버전(예) 아파치 9.0Apache Tomcat v9.0 ) 클릭 > tomcat installation directory 항목 우측 browse 클릭 > 설치된 경로로 가서 톰캣 폴더 선택 > 밑에 JRE 항목 클릭 후 jdk로 변경 후 finish > next > next > finish > open the java ee perspective 창 나오면 open 클릭(우측 상단에 java / java ee 클릭할 수 있게 생긴다. java ee는 웹 개발 버전의 자바(웹 개발 모드), 바꾸고 싶을땐 옆에 java 클릭)
  • windows > show view > other > servers 클릭 후 아래와 같은 구도로 작업 진행 하기

  • 작업폴더 > src > new > Servlet 클릭 후 패키지 명 (예) com.sbs.java.blog), 클래스 명(예)HomeMainServlet) 입력 후 > next > next > finish
  • 주석 등 불필요한 부분 삭제 후 ctrl + s로 저장 후 ctrl + f11로 실행 > Run on server창 나오면 실행될 톰캣버전확인 후 밑에 always use this server running this project 체크 후 finish (오류 날 경우 좌측 하단 servers 창에 톰캣 더블 클릭 > overview 창 우측 중간에 HTTP port number 변경 후 진행해 보기)
  • windows > preferences > Server and Runtime > server runtime 항목 위에서 기존에 설정한 톰캣 버전으로 변경(Tomcat v9.0 Server) > apply
  • windows > preferences > web browser > use external web browser > chrome로 변경 후 apply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S, 대칭키, 비대칭키(공개키) 방식  (0) 2020.06.20
CRUD (Create / Read / Update / Delete)  (0) 2020.06.20
스트링 빌더(Stringbuilder)  (0) 2020.06.18
git clone  (0) 2020.06.18
패키지 이름 명명규칙  (0) 2020.06.18
반응형

*스트링 빌더(Stringbuilder)

// 설명
String str = new Stirng("*"); -> 무조건 새로운 객체 생성

String str2 = "*"; -> 재활용 모드
- 둘다 동일하다고 생각되지만,

- 차이점은 str2로 만들면 재활용 모드가 켜진상태로 > 메모리 낭비가 발생한다.


// 비교
String str = "*";
String str2 = "*";
- str == str2 : true

String str = new String("*");
String str2 = "*";
- str == str2 : false


// String str = "*"; 설명
String str = "*"; 
str += "*";
str += "*"; 
- 해당 값을 계속 증가하게되면.. 값이 *** 로 최종값만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에 * , **, *** 을 저장하게 되면서 메모리 낭비가 발생한다.

- 이러한 메모리 낭비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게 Stringbuilder 이다.


// Stringbuilder
- 긴 문장을 만들거나, 메모리 낭비를 해결하기위해 사용한다.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for ( int i = 0; i < 2; i++ ) {
	sb.append("*");
}
String sql = sb.toString(); > toString() 진행 시 append로 추가한 값이 한번에 나온다.
(메모리 낭비x)

System.out.println(sql); > ***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UD (Create / Read / Update / Delete)  (0) 2020.06.20
스프링 개발환경 설정  (0) 2020.06.19
git clone  (0) 2020.06.18
패키지 이름 명명규칙  (0) 2020.06.18
git bash 한글 깨짐 해결방법  (0) 2020.06.16
반응형

*git clone

- 받아올 git 클릭

- 상단에 Browse files 클릭 > Clone or download 클릭 > git URL 복사

- 워크스페이스 내 받아올 폴더에 우 클릭 후 git bash here 진입

- git clone 복사한 URL.git 입력하여 받아오면 된다.

 

*git clone 진행 시(상세설명)

1. 워크스페이스에서 git bash here > git clone https://github.com/저장소명.git

2. file > import > projexts from folder or Archive > Directory > clone 해온 폴더 선택

3. package Explorer 해당 패키지 우 클릭 > properties > project facets > Dynamic Web Module 체크, Runtimes에 톰캣 체크 후 저장

4. 다시한번 properties 들어가야 적용된다. properties에서 web project settings > context root 제대로 되어있는지 확인 후 저장

5. 실행 > Run As창 나오면 Run on Server 클릭 후 Ok > 톰캣 버전 클릭 후 finish.

6. 오류 날 경우 servers에 톰캣 더블클릭 > ports에서 HTTP port number 변경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개발환경 설정  (0) 2020.06.19
스트링 빌더(Stringbuilder)  (0) 2020.06.18
패키지 이름 명명규칙  (0) 2020.06.18
git bash 한글 깨짐 해결방법  (0) 2020.06.16
SQLyog 계정생성  (0) 2020.06.16
반응형

*패키지 명명 규칙패키지 이름 명명규칙

1. 명명 방법

com.회사이름.프로그램이름

com.회사이름.플랫폼.프로그램이름

kr.co.회사이름.프로그램이름

kr.co.회사이름.플랫폼.프로그램이름

 

2.패키지 명명 규칙

- 사이트명 : 회사이름이나 도메인(웹사이트 주소)으로 많이 구분.

- 웹사이트 주소를 반대로 기재한 모양으로 패키지 이름 부여

- 패키지명에 대문자는 사용하지 않도록 권고 / 되도록 소문자 사용

- 콤마/점( . ) : 소스 파일들을 각 그룹으로 구분하기 위해 사용

- 패키지 이름으로 소스가 들어가는 폴더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 패키지명은 각 클래스 최 상단에 작성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링 빌더(Stringbuilder)  (0) 2020.06.18
git clone  (0) 2020.06.18
git bash 한글 깨짐 해결방법  (0) 2020.06.16
SQLyog 계정생성  (0) 2020.06.16
git 로그인 설정 (계정 변경, 자동 로그인 설정)  (0) 2020.06.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