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ROW_NUMBER

  • 윈도우 함수 중 하나, 결과 집합의 행에 일련 번호를 메겨주는 함수.
  • PARTITION BY 구문과 함께 사용 (일반적)
  • 특정 기준으로 나뉘어진 각파티션의 행들은 ROW_NUMBER()에 의해서 1부터 차례로 넘버링 된다.
  • 특징 : RANK(순위 함수) 와 다르게, 모든 행의 번호를 고유하게 그리고 순차적으로 지정.

## 기본 구문

SELECT ROW_NUMBER() OVER ([PARTITION BY COL1, ...] ORDER BY COL2 ASC)
FROM DUAL;
  • OVER : 쿼리 결과 집합 내 윈도우 or 사용자 지정 행 집합 정의.
  • PARTITION BY : 특정 열 기준으로 데이터를 나눔. (해당 구문을 지정하지 않을 경우, 쿼리 결과 집합의 모든 행이 단일 그룹으로 취급됨)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equals  (0) 2022.11.09
DB2 근속일수 등 날짜의 차이 일수 구하기  (0) 2022.11.01
DB2 length  (0) 2022.10.26
오라클 WITH절  (0) 2022.10.13
DQM, DEM 등 MVC 모델의 파일 약자와 의미  (2) 2022.10.13
반응형

# DB2 length

  • DB2에서 한글(UTF-8) 의 length 확인 시 1 글자의 length가 3으로 (3바이트) 확인된다.
  • LENGTH 함수는 문자의 Byte길이를 가져오기 때문에 한글의 경우 정확한 길이를 알 수 없다.
  •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 : 문자열 데이터의 길이는 문자세트에 따라 다르기 때문. (사용되는 문자세트에 따라 한 문자의 바이트 또한 다름)
문자세트 문자수 바이트수
UTF-8 12 26
EUC-KR 12 19
  • 해결방법 : CHARACTER_LENGTH (문자의 Byte 수를 계산하지 않고, 단순히 몇개의 문자가 있는지 가져오는 함수.)
SELECT CHARACTER_LENGTH('세종대왕')
FROM DUAL;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2 근속일수 등 날짜의 차이 일수 구하기  (0) 2022.11.01
SQL ROW_NUMBER  (0) 2022.10.31
오라클 WITH절  (0) 2022.10.13
DQM, DEM 등 MVC 모델의 파일 약자와 의미  (2) 2022.10.13
한영키 없는 키보드 해결방법  (0) 2022.10.05
반응형

# WITH절

  • 오라클9 이후 버전부터 사용 가능한 이름이 부여된 서브쿼리.
  • WITH절을 이용하여 미리 이름을 부여해서 Query Block를 만들 수 있다. 자주 실행되는 경우 한 번만 파싱(Parsing) 되고 Plan 계획이 수립되어 성능향상에 도움된다.

## WITH절 예시

1. 단일 WITH문
WITH TMS AS
(
	SELECT 'WITH TEST' AS T1
	FROM DUAL
)
SELECT *
FROM TMS



2. 다중 WITH문
WITH TMS1 AS (
	SELECT 'TSET1'
	FROM DUAL
),
TMS2 AS (
	SELECT 'TEST2'
	FROM DUAL
)
SELECT *
FROM TMS2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ROW_NUMBER  (0) 2022.10.31
DB2 length  (0) 2022.10.26
DQM, DEM 등 MVC 모델의 파일 약자와 의미  (2) 2022.10.13
한영키 없는 키보드 해결방법  (0) 2022.10.05
DB2 란?  (0) 2022.10.04
반응형

# MVC 모델의 파일 약자와 의미

  • 현재 투입되어있는 싸이트에서 삼성 애니프레임, 웹스퀘어(화면), Rexpert(리포팅 툴, 오즈(oz)와 비슷) 등을 사용하고 있다.
  • 삼성 애니프레임의 경우 스프링의 느낌과 전자정부의 느낌이 교모하게 섞여있는거 같다.
  • 기존의 전자정부 사용 시 vo, controller, service, serviceImpl, dao, mapper (ibatis or mybatis) 등을 사용했던것 처럼 BIZ, BIZImpl, DQM, DEM, SVO 등 약간 다른 명칭으로 된 것들을 사용하는데 아직은 적응이 필요한것 같다. 그렇기때문에 DQM, DEM, SVO 등이 뭘 의미하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SVC (interface) > SVCImpl > BIZ > BIZImpl > DQM 순으로 진행되며, SVO, DQM 수정 시 DAO도 수정된다.
  • 현재 투입되어있는 싸이트의 경우 actionId 가 컨트롤러의 역할을 하고,

## DVO (Data Value Object)

  • 애니프레임에서 DVO 의 경우 자동생성.

## SVO (Service Value Object)

## VO (Value Object)

  • 계층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자바빈즈를 의미. (계층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객체)
  • DTO 와 동일하지만 read only 속성을 가짐.

## BIZ (Business)

  • 인터페이스, 구현체로 BIZImpl 존재

## DQM (Data Query Module)

  • 애니프레임에서 DQM 의 경우 자동생성.

## DEM (Data Elementary Module)

## XML

  • Rexpert 로 생성한 화면의 경우 .xml 확장자로 파일이 생성된다.

## DAO (Data Access Object)

  •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Data)에 접근하기 위한 객체.
  •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한 로직과,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

## CFG (configuration)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2 length  (0) 2022.10.26
오라클 WITH절  (0) 2022.10.13
한영키 없는 키보드 해결방법  (0) 2022.10.05
DB2 란?  (0) 2022.10.04
IT 관련 각종 자격정보  (0) 2022.09.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