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구사항 확인 기법
- 요구사항 개발 과정을 거쳐 문서화된 요구사항 관련 내용을 확인하고 검증하는 방법이다.
- 요구사항에 자원이 배정되기 전 문제파악을 위한 검증을 수행해야 한다.
- 요구사항 검토, 프로토타이핑, 모델 검증, 인수 테스트 등이 있다.
*프로토타이핑 (Prototyping)
- 초기 도출된 요구사항을 토대로 프로토타입을 만든 후 대상 시스템의 개발이 진행되는 동안 도출되는 요구사항을 반영하면서 지속적으로 프로토타입을 재작성하는 과정이다.
- 상품, 서비스 출시 전 개발 대상 시스템 또는 그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만든 원형을 프로토타입이라고 한다.
- 프로토타이핑을 수행하면서 새로운 요구사항이 도출될 수 있다.
- 소프트웨어 요구사항에 대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해석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로 사용된다.
*모델 검증 (Model Verification)
-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 개발된 모델이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 객체 모델의 경우 객체들 사이에 존재하는 의사소통 경로를 검증하기 위해 정적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유용하다.
*인수 테스트 (Acceptance Tests)
-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될 환경에서 요구사항들이 모두 충족되는지 사용자 입장에서 확인하는 과정이다.
- 각각의 요구사항을 어떻게 확인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
- 사용자 인수 테스트, 운영상의 인수 테스트, 계약 인수 테스트, 규정 인수 테스트, 알파 검사, 베타 검사 등이 있다.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자 인터페이스(UI) (0) | 2020.05.02 |
---|---|
UML (Unified Modeling Language) (0) | 2020.05.01 |
정형 분석, 정형 명세 (0) | 2020.04.30 |
요구사항 (0) | 2020.04.30 |
오픈 소스 사용에 따른 고려사항 (0) | 2020.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