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드

- 코드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료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분류, 조합 및 집계를 용이하게 하고, 특정 자료의 추출을 쉽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이다.

- 코드는 정보를 신속, 정확, 명료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 코드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작성되며, 정보 처리의 효율과 처리된 정보의 가치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 일반적인 코드의 예로 주민등록번호, 학번, 전화번호 등이 있다.

- 코드의 주요 기능에는 식별 기능, 분류 기능, 배열 기능이 있다.

- 식별 기능 : 데이터 간의 성격에 따라 구분이 가능하다.

- 분류 기능 : 특정 기준이나 동일한 유형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그룹화 할 수 있다.

- 배열 기능 : 의미를 부여하여 나열할 수 있다.

 

*코드의 종류

1. 순차 코드 (=순서코드 =일련 번호 코드)

- 자료의 발생 순서, 크기 순서 등 일정 기준에 따라 최초의 자료부터 차례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방법.

 

2. 블록 코드 (=구분 코드)

- 코드화 대상 항목 중 공통성이 있는 것끼리 블록으로 구분, 각 블록 내에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방법.

 

3. 10진 코드 (=도서 분류식 코드)

- 코드화 대상 항목을 0 ~ 9까지 10진 분할, 다시 그 각각에 대해 10진 분할하는 방법을 필요한 만큼 반복하는 방법.

 

4. 그룹 분류 코드

- 코드화 대상 항목을 일정 기준에 따라 대, 중, 소분류 등으로 구분, 각 그룹 안에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방법.

 

5. 연상 코드

- 코드화 대상 항목의 명칭, 약호와 관계있는 숫자, 문자, 기호를 이용하여 코드를 부여하는 방법.

 

6. 표의 숫자 코드 (=유효 숫자 코드)

- 코드화 대상 항목의 성질(길이, 넓이, 부피, 지름, 높이 등)의 물리적 수치를 그대로 코드에 적용시킨 방법.

 

7. 합성 코드

- 필요한 기능을 하나의 코드로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2개 이상의 코드를 조합하여 만드는 방법.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