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연계 요구사항 분석

1. 연계 요구사항 분석이란

- 서로 다른 두 시스템, 장치, 소프트웨어를 이어주는 중계 역항을 하는 연계 시스템과 관련된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과정이다.

- 연계 요구사항 분석은 사용자 인터뷰 및 면담을 통해 식별되고 시스템 구성도, 테이블 정의서. 코드 정의서 등을 참고한다.

1-1. 연계 요구사항 분석 기법, 참고 문서

- 분석기법

  • 인터뷰 : 사용자 면담을 통해 연계 요구사항 도출
  • 체크리스트 : 시스템 운영 환경, 성능, 보안, 데이터 발생 주기 등의 기준에 대한 점검을 통한 분석기법이다.
  • 설문지 : 서비스 활용 목적에 따라 연계 필요 데이터 식별 및 연계 주기 등을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는 기법이다.
  • 델파이 기법 : 전문가의 경험적 지식을 통한 분석 분석 기법으로 업무 전문가 등 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다.
  • 브레인스토밍 : 소속된 인원들이 자발적으로 자연스럽게 제시된 아이디어 목록을 통해 분석하는 기법이다.

- 분석 참고 문서

  • 코드 정의서 : 공통 코드 정의서(코드 ID, 코드명, 코드 설명 등)
  • 테이블 정의서 : 데이터 모델링 정의서, 테이블 및 프로세스 연관도, 테이블별 컬럼 속성 정의서
  • 응용 프로그램 구성도 :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구성, 화면설계, 데이터 발생 시점, 주기, 발생 패턴 등 확인
  • 시스템 구성도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 연계 대상 시스템 구성도

 

2. 연계 요구사항 분석, 참고문서

2-1. 개체 정의서

- 데이터베이스 개념 모델링 단계에서 도출한 개체의 타입과 관련된 속성, 식별자 등의 정보를 개괄적으로 명세화한 정의서이다.

2-2. 테이블 정의서

- 논리 및 물리 모델링과정에서 작성하는 설계 산출물로 테이블을 구성하는 컬럼들의 특성, 인덱스, 업무 규칙을 문서화한 것이다.

- 컬럼의 특성은 컬럼명, 데이터 타입, 길이, 널 여부, 키 여부, 디폴트 값 등을 의미한다.

2-3. 인터페이스(연계) 명세서

- 인터페이스(연계) 명세서는 인터페이스(연계) 정의서에 작성한 이넡페이스 ID별로 송수신하는 데이터 타입, 길이 등 인터페이스 항목을 상세하게 작성한다.

2-4. 인터페이스 명세서의 구성요소

- 송신 시스템과 수식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방식, 주기 등을 기록한 현황을 작성한다.

  • 인터페이스 ID : 인터페이스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 명명 표준에 맞게 부여한다. 일반적으로 인터페이스 식별 성을 강화하기 위해 업무 분류 코드와 연속 번호를 같이 활용한다.
  • 최대 처리 횟수 : 단위 시간당 처리될 수 있는 해당 인터페이스 최대 수행 건수를 의미한다.
  • 데이터 크기 (평균/최대) : 해당 인터페이스 1회 처리시 소요되는 데이터의 평균 크기와 최대 크기를 의미한다.
  • 시스템 정보 (송수신 시스템 각각 작성) : 시스템 명, 업무 명, 서비스 명/프로그램ID, 연계 방식, 담당자/연락처 등을 작성한다.
  • 데이터 정보 (송수신 시스템 각각 작성) : 번호, 필드, 식별자 여부, 데이터 타입, 데이터 크기, 널 허용 여부, 항목 설명, 조건, 매핑 규칙, 총 길이, 추출 조건/SQL 등을 작성한다.

 

3. 연계 요구사항 분석 절차

- 시스템 현황 확인 : 송신 시스템과 수식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 시스템 소프트웨어 구성, 네트워크 현황 확인

- 정의서 확인 :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에서 연계하고자 하는 데이터 관련 테이블 정의서, 코드 정의서 확인

- 체크리스트 작성 : 질의 사항을 시스템(네트워크, 보안 등) 관점과 응용(데이터, 공통 코드 등) 관점에서 연계 분석 체크리스트 작성

- 인터뷰 및 면담 : 사용자 인터뷰 및 면담을 수행하고 회의록을 작성한다.

- 연계 요구사항 분석서 작성 : 연계 시스템 구성 및 데이터 식별에 해당하는 내용에 요구사항 ID를 부여하고 요구사항 분석서를 작성한다.

 

4. 연계 시스템의 구성

- 연계 시스템은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연계 방식에 따라 중계 서버를 둘 수 있다.

- 송신 시스템 : 연계할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연계 테이블 또는 파일 형태로 생성하여 송신하는 시스템

- 수신 시스템 : 수신한 연계 테이블 또는 파일의 데이터를 수신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데이터 형식에 맞게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애플리케이션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시스템

- 중계 서버 :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연계 데이터의 송수신 현황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으로 연계 데이터의 보안 강화 및 다중 플랫폼 지원 등이 가능하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