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
1. 연계 데이터 식별
- 대내외 시스템 연계를 위해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데이터에 대한 상세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데이터 표준화에 참고한다.
- 대내외 구분 정보 : 기업 내부 시스템인지, 외부 기고나 시스템인지 구분
- 기관명 : 대외 기관일 경우 기관명 기술
- 시스템 ID : 시스템 식별 체계에 따라 부여된 식별 번호
- 한글명 : 시스템 한글명
- 영문명 : 시스템 영문명
- 시스템 설명 : 시스템에 대한 업무, 위치 등에 대한 부가 정보
- 시스템 위치 : 시스템이 설치된 위치(노드) 정보
- 네트워크 특성 : 네트워크 속도, 대역폭, 유의사항 등 네트워크 특성
- 전용 회선 정보 : 전용 회선을 사용할 경우 전용 회선 연결 방법과 속도 등의 정보
- IP / URL : 시스템 접속에 필요한 IP 또는 URL 정보
- Port : 접속에 필요한 Port 정보
- Login : 정보시스템 로그인 ID와 암호
- DB정보 : 데이터베이스 연계 시 필요한 DBMS 유형, DBMS 로그인 정보
- 담당자 정보 : 해당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담당자 연락처
1-1. 연계 데이터 범위와 검토 사항
송신부 | 수신부 | 검토사항 |
String | Number | 한 가지의 데이터 타입으로 정의 및 적용(일반적으로 수신 시스템 기준으로 적용) |
Number | String | |
Date | String | |
String | Date | |
Not Null | Null | 송신 시스템에 입력된 값 그대로 연계 |
Null | Not Null | 연계 불가 |
송신데이터 크기 > 수신 데이터 크기 | 연계 불가, 수신 시스템의 데이터 크기로 줄였을 경우에는 가능 | |
송신 데이터 크기 < 수신 데이터 크기 | 수신 시스템의 데이터 크기로 변환하여 연계 |
2. 연계 데이터 표준화
- 인터페이스 시스템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는 규칙화된 표준 형식을 정의하여 사용해야 한다.
- 인터페이스 설계 단계에서 송, 수신 시스템 사이에 전송되는 표준항목과 업무 처리 데이터, 공통 코드 정보 등을 누락 없이 식별하고 인터페이스 명세서를 작성해야 한다.
- 인터페이스 데이터 공통부, 인터페이스 데이터 개별부, 인터페이스 데이터 종료부로 구성되어 있다.
- 인터페이스 데이터 공통부 :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을 포함
- 인터페이스 데이터 개별부 : 송, 수신 시스템에서 업무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포함
- 인터페이스 데이터 종료부 : 전송 데이터의 끝을 표시하는 문자를 포함하여 종료 표시
3.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 절차
- 연계 범위 및 항목 정의 : 시스템 간의 연계하려는 정보를 구체화하여 범위와 항목을 정의한다.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에서 연계하고자 하는 각 항목의 데이터 타입 및 길이, 코드화 여부 등을 확인한다.
- 연계 코드 변환 및 매핑 : 연계대상 범위 및 항목 식별 이후 연계 정보 중 코드로 관리되는 항목을 변환해야 한다. 코드로 관리되는 정보는 검색 조건으로 활용한다.
- 인터페이스(연계) 정의서 작성 : 저의된 연계 항목의 데이터 타입, 길이, 공통 코드 여부 등의 속성을 확인하고 연계(인터페이스) 정의서 및 명세서를 작성한다.
반응형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계 장애 및 오류처리 구현(연계 장애 사례 및 처리 방안, 체크리스트) (0) | 2020.07.04 |
---|---|
연계 메커니즘 (0) | 2020.07.03 |
연계 요구사항 분석 (0) | 2020.07.01 |
데이터 조작 프로시저 개발 (0) | 2020.06.30 |
물리 데이터 저장소 구성(테이블 제약조건/인덱스/뷰/클러스터/디스크 구성/파티션 설계) (0) | 2020.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