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객체 지향 설계와 스프링

## 스프링의 탄생. (가볍게 보기만 할 것)

1) 스프링 (유겐휠러&얀카로프_전통적인 J2EE(EJB)라는 겨울을 넘어 새로운 시작이는 뜻으로 지음)

  • EJB 컨테이너 대체.
  • 단순함의 승리.
  • 현재 사실상 표준 기술.

2) 하이버네이트

  • EJB 엔티티빈 기술을 대체.
  • JPA (Java Persistence API) 새로운 표준 정의.

3) JPA

  • 표준 인터페이스 (JPA) 존재.
  • JPA 구현체로 하이버네이트, EclipseLink 등 존재.

## 스프링이란?

  • 스프링은 여러 기술의 모음.
스프링의 의미.
- 스프링 DI 컨테이너 기술.
- 스프링 프레임워크
- 스프링 부트, 스프링 프레임워크 등을 모두 포함한 스프링 생태계를 의미.

1) 스프링 프레임워크

  • 스프링의 핵심.
  • 핵심 기술 : 스프링 DI 컨테이너, AOP, 이벤트, 기타
  • 웹 기술 : 스프링 MVC, 스프링 WebFlux
  • 데이터 접근 기술 : 트랜잭션, JDBC, ORM 지원, XML 지원
  • 기술 통합 : 캐시, 이메일, 원격접근, 스케줄링
  • 테스트 : 스프링 기반 테스트 지원
  • 언어 : 코틀린, 그루비
  • 스프링 부트를 통해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기술들을 편리하게 사용.

2) 스프링 부트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 별도로 사용불가. 스프링프레임워크와 함께 사용)

  • 여러 기술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스프링 프로젝트에서 기본으로 사용.
  • 단독으로 실행할 수 있는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생성, 톰캣과 같은 웹 서버를 내장해서 별도의 웹 서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 손쉬운 빌드 구성을 위한 starter 종속성 제공.
  • 스프링과 3rd parth(외부) 라이브러리 자동 구성.
  • 메트릭, 상태 확인, 외부 구성 같은 프로덕션 준비 기능 제공. (운영 환경에서의 모니터링 등)
  • 관례에 의한 간결한 설정.

3) 그 외 선택사항

  • 스프링 데이터 : 기본적인 CRUD 등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술로 스프링 JPA를 많이 사용.
  • 스프링 세션 : 세션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 스프링 시큐리티 : 보안 관련.
  • 스프링 Rest Docs : API 문서와 테스트를 편리하게 결합하여 API 문서화를 편리하게 해주는 것.
  • 스프링 배치 : 배치 처리에 특화된 기술.
  • 스프링 클라우드 : 클라우드 기술에 특화된 기술.
  • https://spring.io/projects
 

Spring | Projects

Spring Framework Provides core support for dependency injection, transaction management, web apps, data access, messaging, and more.

spring.io

### 스프링의 핵심 (스프링을 만든 이유)

  • 스프링은 자바 언어 기반의 프레임워크.
  • 객체 지향 언어 : 자바 언어의 가장 큰 특징.
  • 스프링은 객체 지향 언어가 가진 강력한 특징을 살려내는 프레임워크.
  • 정리 : 스프링은 좋은 객체 지향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프레임워크(도구).

## 좋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 객체 지향의 특징?

  • 추상화 / 캡슐화 / 상속 / 다형성(Polymorphism - 객체지향의 꽃이라고 할 수 있음)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 객체 들의 모임.
  • 객체는 메시지를 주고 받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하게 만든다. (레고 조립, 컴퓨터 부품 교체하여 업그레이드 등을 예로 들 수 있음) -> 다형성(Polymorphism)

### 다형성 (Polymorphism) (핵심) 실세계 비유.

  • 역할(인터페이스)과 구현(구현체)으로 세상을 구분.

예제1) 운전자-자동차

  • 운전자 (운전자 역할)
  • 자동차 (자동차 역할)
  • 아반떼, 테슬라 모델3 등 (자동차 구현체)
  • 이때 운전자는 자동차(자동차 구현체)가 바뀌어도 운전 가능.
  • 자동차가 바뀌어도 운전자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핵심_유연하고 변경이 용이)
  • 운전자는 자동차 역할에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 

예제2) 공연 무대

  • 로미오와 줄리엣 공연.
  • 로미오 역할, 줄리엣 역할 존재.
  • 로미오, 줄리엣 역할을 어떤 배우라도 할 수 있음. (배우 대체 가능_유연하고 변경이 용이)

예제3) 키보드

  • 키보드 종류 상관없이 사용 가능.

예제4) 할인 정책 로직

  • 정책이 바뀌어도 기존 로직 변경없이 구현 가능.

### 역할-구현 분리.

  • 역할과 구현으로 구분하면 단순해지고, 유연해지며 변경도 편리해진다.

역할-구현 분리의 장점

  • 클라이언트는 대상의 역할(인터페이스)만 알면 된다.
  •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의 내부 구조를 몰라도 된다.
  •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의 내부 구조가 변경되어도 영향 받지 않는다.
  •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 자체를 변경해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 역할-구현 분리 (자바 언어)

  • 자바 언어의 다형성 활용.
  • 역할 (인터페이스) / 구현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 구현 객체)
  • 객체를 설계할 때 역할과 구현을 명확히 분리.
  • 객체 설계시 역할(인터페이스)을 먼저 부여, 그 역할을 수행하는 구현 객체 만들기. (핵심!! 역할(인터페이스)이 중요하다.)

### 객체의 협력이라는 관계부터 생각.

  • 혼자 있는 객체는 없다.
  • 클라이언트 : 요청 / 서버 : 응답.
  • 많은 객체 클라이언트와 객체 서버는 서로 협력 관계를 갖는다.

### 자바 언어의 다형성.

  • 오버라이딩 (재정의).
  • 오버라이딩은 자바의 기본 문법.
  • 오버라이딩 된 메서드가 실행.
  • 다형성으로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를 실행 시점에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 클래스 상속 관계도 다형성, 오버라이딩 적용이 가능하다.

### 다형성의 본질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 인스턴스를 실행 시점에서 유연하게 변경 가능.
  • 다형성의 본질을 이해하려면 협력이라는 객체 사이의 관계에서 시작해야 한다.
  • 클라이언트를 변경하지 않고, 서버의 구현 기능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 역할과 구현을 분리 (한계점)

  • 역할(인터페이스) 자체가 변할 경우, 클라이언트, 서버 모두에 큰 변경이 발생한다.
  • 기존의 자동차를 비행기로 변경해야 한다거나, 연극의 대본이 변경된다거나 등등..
  • 인터페이스를 안정적으로 잘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 스프링과 객체 지향

  • 다형성이 가장 중요.  (핵심, 객체지향의 꽃이라고 할 수 있음)
  • 스프링은 다형성을 극대화해서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스프링의 제어의 역전(IoC) / 의존관계 주입(DI)은 다형성을 활용해 역할과 구현을 편리하게 다룰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이다.
  • 스프링 사용 시 레고 블럭 조립하듯 구현을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 (SOLID)

1) SRP : 단일 책임의 원칙

  • 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 하나의 책임은 모호함.
  • 중요한 판단 기준은 변경이다. 변경 발생 시 파급 효과가 적으면 단일 책임 원칙을 잘 따른 것이다. (예) UI 변경, 객체의 생성과 사용 분리 등)

2) OCP : 개방-폐쇄의 원칙 (가장 중요)

  • 소프트웨어 요소는 확장에는 열려 있으나, 변경에는 닫혀 있어야 한다.
  • 다형성을 활용.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새로운 클래스를 하나 만들어서 새로운 기능을 구현. (기존 코드 변경하는게 아닌 새로운 구현체를 만드는 것일 뿐)
  • 역할과 구현을 분리.

OCP 문제점

  • 구현 객체를 변경하려면 클라이언트 코드를 변경해야 한다.
  • 다형성을 사용했지만, OCP 원칙을 지킬 수 없다.
  • 해결방법 : 객체를 생성하고, 연관관계를 맺어주는 별도의 조립, 설정자가 필요.

3) LSP : 리스코프 치환의 원칙

  • 다형성에서 하위 클래스는 인터페이스 규약을 다 지켜야 한다는 것.
  • 다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원칙으로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구현체는 믿고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원칙.
  • 예를 들어 자동차 인터페이스의 엑셀은 앞으로 가라는 기능인데, 엑셀을 뒤로 가게 구현한다면 LSP 위반.

4) ISP : 인터페이스 분리의 원칙

  • 특정 클라이언트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여러 개의 범용 인터페이스보다 낫다.
  • 인터페이스가 명확해지고, 대체 가능성이 높아진다.
  • 예를 들어 자동차 인터페이스를 운전 인터페이스, 정비 인터페이스로 분리 / 사용자 클라이언트를 운전자 클라이언트, 정비사 클라이언트로 분리 시 정비 인터페이스 자체가 변해도 운전자 클라이언트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5) DIP : 의존관계 역전의 원칙

  • 추상화에 의존, 구체화에 의존하면 안된다.
  • 클라이언트 코드가 구현 클래스에 의존하지 않고, 인터페이스 클래스에만 의존하라는 것.
  • 역할(인터페이스)에 의존하게 해야 한다는 것.
  • DIP 위반 : 추상화에 의존해야지, 구체화에 의존하면 안된다는 의미.

### SOLID 정리

  • 다형성 : 객체 지향의 핵심.
  • 다형성 만으로는 쉽게 부품을 갈아 끼우듯 개발할 수 없다.
  • 다형성 만으로는 구현 객체를 변경할 때 클라이언트 코드도 함께 변경된다.
  • 다형성 만으로는 OCP, DIP를 지킬 수 없다.

## 객체 지향 설계와 스프링

  • 스프링은 다형성과 OCP, DIP를 가능하게 지원해주는 기술.
DI : 의존관계 주입, 의존성 주입

DI 컨테이너 제공
  • DI 와 DI 컨테이너를 활용해야 클라이언트 코드의 변경(교체) 없이 기능 확장 가능.
반응형
반응형

# 빈 스코프

## 빈 스코프란?

  • 스코프는 번역 그대로 빈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를 뜻한다.
  • 스프링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스코프를 지원한다.
싱글톤: 기본 스코프,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유지되는 가장 넓은 범위의 스코프.

프로토타입: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까지만 관여하고 더는 관리하지 않는
매우 짧은 범위의 스코프.

웹 관련 스코프
	- request: 웹 요청이 들어오고 나갈때 까지 유지되는 스코프.
	- session: 웹 세션이 생성되고 종료될 때 까지 유지되는 스코프.
	- application: 웹의 서블릿 컨텍스트와 같은 범위로 유지되는 스코프.
  • 컴포넌트 스캔 자동 등록
@Scope("prototype")
@Component
public class HelloBean {}
  • 컴포넌트 스캔 수동 등록
@Scope("prototype")
@Bean
PrototypeBean HelloBean() {
 return new HelloBean();
}

## 프로토타입 스코프

  • 싱글톤 스코프의 빈 조회 시, 스프링 컨테이너는 항상 같은 인스턴스의 스프링 빈을 반환.
  • 프로토타입 스코프를 스프링 컨테이너에 조회 시 스프링 컨테이너는 항상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반환.
  • 싱글톤 빈 요청 시.
1. 싱글톤 스코프의 빈을 스프링 컨테이너에 요청한다.

2. 스프링 컨테이너는 본인이 관리하는 스프링 빈을 반환한다.

3. 이후에 스프링 컨테이너에 같은 요청이 와도 같은 객체 인스턴스의 스프링 빈을 반환한다.
  • 프로토타입 빈 요청 시. (요청 시점에서 생성)
1. 프로토타입 스코프의 빈을 스프링 컨테이너에 요청한다.

2. 스프링 컨테이너는 이 시점에 프로토타입 빈을 생성하고, 필요한 의존관계를 주입한다

3. 스프링 컨테이너는 생성한 프로토타입 빈을 클라이언트에 반환한다.

4. 이후에 스프링 컨테이너에 같은 요청이 오면 항상 새로운 프로토타입 빈을 생성해서 반환한다.
  • 핵심은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을 생성하고, 의존관계 주입, 초기화까지만 처리한다는 것.
  • 프로토타입 빈을 관리하는 책임은 프로토타입 빈을 받은 클라이언트에 있다. 그래서 @PreDestory 같은 종료 메서드가 호출되지 않는다.
  • 싱글톤 스코프 테스트.
package hello.core.scope;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Scope;

import javax.annotation.PostConstruct;
import javax.annotation.PreDestroy;

public class SingletonTest {

    @Test
    void singletonBeanFind()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SingletonBean.class);

        SingletonBean singletonBean1 = ac.getBean(SingletonBean.class);
        SingletonBean singletonBean2 = ac.getBean(SingletonBean.class);
        System.out.println("singletonBean1 = " + singletonBean1);
        System.out.println("singletonBean2 = " + singletonBean2);

        Assertions.assertThat(singletonBean1).isSameAs(singletonBean2);

        ac.close();
    }

    @Scope("singleton")
    static class SingletonBean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SingletonBean.init");
        }

        @PreDestroy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SingletonBean.destroy");
        }
    }
}
  • 프로토타입 스코프 테스트
package hello.core.scope;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Scope;

import javax.annotation.PostConstruct;
import javax.annotation.PreDestroy;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public class PrototypeTest {

    @Test
    void prototypeBeanFind()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PrototypeBean.class);

        System.out.println("find prototypeBean1");
        PrototypeBean prototypeBean1 = ac.getBean(PrototypeBean.class);
        System.out.println("find prototypeBean2");
        PrototypeBean prototypeBean2 = ac.getBean(PrototypeBean.class);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1 = " + prototypeBean1);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2 = " + prototypeBean2);
        assertThat(prototypeBean1).isNotSameAs(prototypeBean2);

        //ac.close(); // 불가.
        // 필요한 경우 destroy 수동으로 호출해줘야 함.
        prototypeBean1.destroy();   
        prototypeBean2.destroy();
    }

    @Scope("prototype")
    static class PrototypeBean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init");
        }

        @PreDestroy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destroy");
        }
    }
}
  • 싱글톤 빈의 경우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시점에 초기화 메서드 실행, 프로토타입 스코프의 빈은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빈을 조회할 때 생성되고, 초기화 메서드도 실행.
  • 프로토타입 빈을 2번 조회했으므로 완전히 다른 스프링 빈이 생성, 초기화도 2번 실행.
  • 싱글톤 빈은 스프링 컨테이너가 관리하기 때문에 스프링 컨테이너가 종료될 때 빈의 종료 메서드가 실행, 프로토타입 빈은 스프링 컨테이너가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 그리고 초기화 까지만 관여하고, 더는 관리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로토타입 빈은 스프링 컨테이너가 종료될 때 @PreDestroy 같은 종료 메서드가 전혀 실행되지 않는다.
  • 정리.
스프링 컨테이너에 요청할 때 마다 새로 생성된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 그리고 초기화까지만 관여한다.

종료 메서드가 호출되지 않는다.

그래서 프로토타입 빈은 프로토타입 빈을 조회한 클라이언트가 관리해야 한다. 
종료 메서드에 대한 호출도클라이언트가 직접 해야한다.

## 프로토타입 스코 _싱글톤 빈과 함께 사용 시 문제점.

  • 스프링 컨테이너에 프로토타입 스코프 빈 요청 시항상 새로운 객체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반환한다. 싱글톤 빈과 함께 사용 시에는 의도한 대로 잘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프로토타입 빈 직접 요청 시.

1. 클라이언트A는 스프링 컨테이너에 프로토타입 빈을 요청한다.

2.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을 새로 생성해서 반환(x01)한다. 해당 빈의 count 필드 값은 0이다.

3. 클라이언트는 조회한 프로토타입 빈에 addCount() 를 호출하면서 count 필드를 +1 한다.
결과적으로 프로토타입 빈(x01)의 count는 1이 된다.
1. 클라이언트B는 스프링 컨테이너에 프로토타입 빈을 요청한다.

2.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을 새로 생성해서 반환(x02)한다. 해당 빈의 count 필드 값은 0이다.

3. 클라이언트는 조회한 프로토타입 빈에 addCount() 를 호출하면서 count 필드를 +1 한다.
결과적으로 프로토타입 빈(x02)의 count는 1이 된다.
package hello.core.scope;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Scope;

import javax.annotation.PostConstruct;
import javax.annotation.PreDestroy;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public class SingletonWithPrototypeTest1 {

    @Test
    void prototypeFind()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 prototypeBean1 = ac.getBean(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1.addCount();
        assertThat(prototypeBean1.getCount()).isEqualTo(1);

        PrototypeBean prototypeBean2 = ac.getBean(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2.addCount();
        assertThat(prototypeBean2.getCount()).isEqualTo(1);
    }

    @Scope("prototype")
    static class PrototypeBean {
        private  int count = 0;

        public void addCount() {
            count++;
        }

        public int getCount() {
            return count;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init " + this);
        }

        @PreDestroy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destroy");
        }
    }
}

싱글톤 빈에서 프로토타입 사용 시.

clientBean은 싱글톤이므로, 보통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시점에 함께 생성, 의존관계 주입도 발생.

1. clientBean 은 의존관계 자동 주입을 사용한다. 주입 시점에 스프링 컨테이너에 프로토타입 빈을 요청한다.

2.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을 생성해서 clientBean 에 반환한다. 
프로토타입 빈의 count 필드값은 0이다.
이제 clientBean 은 프로토타입 빈을 내부 필드에 보관한다. (정확히는 참조값을 보관한다.)

클라이언트 A는 clientBean 을 스프링 컨테이너에 요청해서 받는다.싱글톤이므로 항상 같은
clientBean 이 반환된다.

3. 클라이언트 A는 clientBean.logic() 을 호출한다.

4. clientBean 은 prototypeBean의 addCount() 를 호출해서 프로토타입 빈의 count를 증가한다. 
count값이 1이 된다.

클라이언트 B는 clientBean 을 스프링 컨테이너에 요청해서 받는다.싱글톤이므로 항상 같은
clientBean 이 반환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 clientBean이 내부에 가지고 있는 프로토타입 빈은 이미 과거에 주입이 끝난 빈이다.
주입 시점에 스프링 컨테이너에 요청해서 프로토타입 빈이 새로 생성이 된 것이지, 사용 할 때마다 새로 생성되는 것이 아니다.

5. 클라이언트 B는 clientBean.logic() 을 호출한다.

6. clientBean 은 prototypeBean의 addCount() 를 호출해서 프로토타입 빈의 count를 증가한다.
원래 count 값이 1이었으므로 2가 된다.
package hello.core.scope;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Scope;

import javax.annotation.PostConstruct;
import javax.annotation.PreDestroy;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public class SingletonWithPrototypeTest1 {

    @Test
    void prototypeFind()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 prototypeBean1 = ac.getBean(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1.addCount();
        assertThat(prototypeBean1.getCount()).isEqualTo(1);

        PrototypeBean prototypeBean2 = ac.getBean(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2.addCount();
        assertThat(prototypeBean2.getCount()).isEqualTo(1);
    }

    @Test
    void singletonClientUsePrototype()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ClientBean.class, PrototypeBean.class);

        ClientBean clientBean1 = ac.getBean(ClientBean.class);
        int count1 = clientBean1.logic();
        assertThat(count1).isEqualTo(1);

        ClientBean clientBean2 = ac.getBean(ClientBean.class);
        int count2 = clientBean2.logic();
        assertThat(count2).isEqualTo(2);
    }

    @Scope("singleton")
    static class ClientBean {
        private final PrototypeBean prototypeBean;  // 생성 시점에 주입.

        @Autowired
        public ClientBean(PrototypeBean prototypeBean) {
            this.prototypeBean = prototypeBean;
        }

        public int logic() {
            prototypeBean.addCount();
            int count = prototypeBean.getCount();

            return count;
        }
    }

    @Scope("prototype")
    static class PrototypeBean {
        private  int count = 0;

        public void addCount() {
            count++;
        }

        public int getCount() {
            return count;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init " + this);
        }

        @PreDestroy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destroy");
        }
    }
}
  • 스프링은 일반저긍로 싱글톤 빈을 사용, 싱클톤 빈이 프로토타입 빈을 사용하게 된다. 싱글톤 빈은 생성 시점에만 의존관계를 주입받기 때문에 프로토타입 빈이 새로 생성되기는 하지만 싱글톤 빈과 함께 계속 유지되는 것이 문제.
  • 프로토타입 빈을 주입 시점에만 새로 생성하는게 아니라, 사용할 때 마다 새로 생성해서 사용하는 것을 원하겠지만, 위의 코드를 실행 하게되면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을 것이다. 

## 프로토타입 스코프_싱글톤 빈과 함께 사용 시 Provider로 문제 해결.

  • 싱글톤 빈과 프로토타입 빈을 함께 사용할 때, 사용할 때마다 항상 새로운 프로토타입 빈을 생성하게 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싱글톤 빈이 프로토타입을 사용할 때마다 스프링 컨테이너에 새로 요청하는 것이다.
public class PrototypeProviderTest {
 @Test
 void providerTest()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ClientBean.class, PrototypeBean.class);
 ClientBean clientBean1 = ac.getBean(ClientBean.class);
 int count1 = clientBean1.logic();
 assertThat(count1).isEqualTo(1);
 ClientBean clientBean2 = ac.getBean(ClientBean.class);
 int count2 = clientBean2.logic();
 assertThat(count2).isEqualTo(1);
 }
 static class ClientBean {
 @Autowired
 private ApplicationContext ac;
 public int logic() {
 PrototypeBean prototypeBean = ac.getBean(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addCount();
 int count = prototypeBean.getCount();
 return count;
 }
 }
 @Scope("prototype")
 static class PrototypeBean {
 private int count = 0;
 public void addCount() {
 count++;
 }
 public int getCount() {
 return count;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init " + this);
 }
 @PreDestroy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destroy");
 }
 }
}
  • 핵심 코드는 아래와 같다.
@Autowired
private ApplicationContext ac;
public int logic() {
 PrototypeBean prototypeBean = ac.getBean(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addCount();
 int count = prototypeBean.getCount();
 return count;
  • 이렇게 직접 필요한 의존관계를 찾는 것을 Dependency Lookup (DL) 의존관계 조회(탐색) 이라한다.
  • 이렇게 스프링의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전체를 주입받게 되면, 스프링 컨테이너에 종속적인 코드가 되고, 단위 테스트도 어려워진다.

ObjectFactory, ObjectProvider

  • ObjectProvider : 지정한 빈을 컨테이너에서 대신 찾아주는 DL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 과거에는 ObjectFactory 가 있었는데, 여기에 편의 기능을 추가해서 ObjectProvider 가 만들어졌다.

 

package hello.core.scope;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ObjectFac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ObjectProvider;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Scope;

import javax.annotation.PostConstruct;
import javax.annotation.PreDestroy;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public class SingletonWithPrototypeTest1 {

    @Test
    void prototypeFind()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 prototypeBean1 = ac.getBean(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1.addCount();
        assertThat(prototypeBean1.getCount()).isEqualTo(1);

        PrototypeBean prototypeBean2 = ac.getBean(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2.addCount();
        assertThat(prototypeBean2.getCount()).isEqualTo(1);
    }

    @Test
    void singletonClientUsePrototype()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ClientBean.class, PrototypeBean.class);

        ClientBean clientBean1 = ac.getBean(ClientBean.class);
        int count1 = clientBean1.logic();
        assertThat(count1).isEqualTo(1);

        ClientBean clientBean2 = ac.getBean(ClientBean.class);
        int count2 = clientBean2.logic();
        assertThat(count2).isEqualTo(2);
    }

    @Scope("singleton")
    static class ClientBean {
        @Autowired
        /*private ObjectProvider<PrototypeBean> prototypeBeanProvider;*/
        private ObjectFactory<PrototypeBean> prototypeBeanFactory;

        public int logic() {
            /*PrototypeBean prototypeBean = prototypeBeanProvider.getObject();*/
            PrototypeBean prototypeBean = prototypeBeanFactory.getObject();
            prototypeBean.addCount();
            int count = prototypeBean.getCount();

            return count;
        }
    }

    @Scope("prototype")
    static class PrototypeBean {
        private  int count = 0;

        public void addCount() {
            count++;
        }

        public int getCount() {
            return count;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init " + this);
        }

        @PreDestroy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destroy");
        }
    }
}
  • prototypeBeanProvider.getObject() 을 통해 항상 새로운 프로토타입 빈이 생성.
  • ObjectProvider 의 getObject() 를 호출하면 내부에서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 해당 빈을 찾아서 반환한다. (DL)
  • 스프링이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하지만, 기능이 단순하므로 단위테스트를 만들거나 mock 코드를 만들기는 훨씬 쉬워진다.
  • ObjectProvider 는 지금 딱 필요한 DL 정도의 기능만 제공한다.

특징.

ObjectFactory : 기능이 단순, 별도의 라이브러리 필요 없음, 스프링에 의존

ObjectProvider : ObjectFactory 상속, 옵션, 스트림 처리등 편의 기능이 많고, 
별도의 라이브러리 필요없음, 스프링에 의존

JSR-330 Provider

  • JSR-330 자바 표준을 사용하는 방법, 이 방법을 사용하려면 javax.inject:javax.inject:1 라이브러리를 gradle에 추가해야 한다.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
   implementation 'javax.inject:javax.inject:1'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lombok 라이브러리 추가 시작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test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lombok 라이브러리 추가 끝
}
package hello.core.scope;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ObjectFac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ObjectProvider;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Scope;

import javax.annotation.PostConstruct;
import javax.annotation.PreDestroy;
import javax.inject.Provider;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public class SingletonWithPrototypeTest1 {

    @Test
    void prototypeFind()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 prototypeBean1 = ac.getBean(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1.addCount();
        assertThat(prototypeBean1.getCount()).isEqualTo(1);

        PrototypeBean prototypeBean2 = ac.getBean(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2.addCount();
        assertThat(prototypeBean2.getCount()).isEqualTo(1);
    }

    @Test
    void singletonClientUsePrototype()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ClientBean.class, PrototypeBean.class);

        ClientBean clientBean1 = ac.getBean(ClientBean.class);
        int count1 = clientBean1.logic();
        assertThat(count1).isEqualTo(1);

        ClientBean clientBean2 = ac.getBean(ClientBean.class);
        int count2 = clientBean2.logic();
        assertThat(count2).isEqualTo(2);
    }

    @Scope("singleton")
    static class ClientBean {
        @Autowired
        private Provider<PrototypeBean> prototypeBeanProvider;

        public int logic() {
            PrototypeBean prototypeBean = prototypeBeanProvider.get();
            prototypeBean.addCount();
            int count = prototypeBean.getCount();

            return count;
        }
    }

    @Scope("prototype")
    static class PrototypeBean {
        private  int count = 0;

        public void addCount() {
            count++;
        }

        public int getCount() {
            return count;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init " + this);
        }

        @PreDestroy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destroy");
        }
    }
}
  • provider.get() 을 통해서 항상 새로운 프로토타입 빈이 생성.
  • provider 의 get() 을 호출하면 내부에서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 해당 빈을 찾아서 반환. (DL)
  • 자바 표준이고, 기능이 단순하여 단위테스트를 만들거나 mock 코드를 만들기 훨씬 쉬워진다.
  • Provider 는 지금 딱 필요한 DL 정도의 기능만 제공한다.

특징

get() 메서드 하나로 기능이 매우 단순하다.

별도의 라이브러리가 필요하다.

자바 표준이므로 스프링이 아닌 다른 컨테이너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정리.

  • 프로토타입 빈 사용 : 매번 사용할 때마다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된 새로운 객체 필요 시 사용.
  • 실무에서 개발 시 싱글톤 빈으로 대부분의 문제가 해결됨 그래서 프로토타입 빈을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 ObjectProvider, JSR303 Provider의 경우 프로토타입 뿐만 아니라 DL이 잎ㄹ요한 경우 언제든 사용할 수 있다.

## 웹 스코프

웹 스코프 : 웹 환경에서만 동작, 프로토타입과 다르게 스프링이 종료시점까지 관리한다. (종료 메서드 호출)

웹 스코프의 종류

request: HTTP 요청 하나가 들어오고 나갈 때 까지 유지되는 스코프, 
각각의 HTTP 요청마다 별도의 빈 인스턴스가 생성되고, 관리된다.

session: HTTP Session과 동일한 생명주기를 가지는 스코프

application: 서블릿 컨텍스트( ServletContext )와 동일한 생명주기를 가지는 스코프

websocket: 웹 소켓과 동일한 생명주기를 가지는 스코프
  • HTTP request 요청 당 각각 할당되는 request 스코프.

## request 스코프 예제 만들기.

웹 스코프는 웹 환경에서만 동작하므로 web 환경이 동작하도록 라이브러리를 추가.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
   //web 라이브러리 추가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javax.inject:javax.inject:1'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lombok 라이브러리 추가 시작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test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lombok 라이브러리 추가 끝
}
  • 동시에 여러 HTTP 요청 시 정확히 어떤 요청이 남긴 로그인지 파악하기 어려움, 이때 사용하기 좋은게 request 스코프.
package hello.core.commo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Scope;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import javax.annotation.PostConstruct;
import javax.annotation.PreDestroy;
import java.util.UUID;

@Component
@Scope(value = "request")
public class MyLogger {
    private String uuid;
    private String requestURL;

    public void setRequestURL(String requestURL) {
        this.requestURL = requestURL;
    }

    public void log(String msg) {
        System.out.println("[" + uuid + "]" + "[" + requestURL + "] " + msg);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uuid = UUID.randomUUID().toString();
        System.out.println("[" + uuid + "] request scope bean create : " + this);
    }

    @PreDestroy
    public void close() {
        System.out.println("[" + uuid + "] request scope bean close : " + this);
    }
}

로그를 출력하기 위한 MyLogger 클래스.

  • @Scope(value = "request") 를 사용, request 스코프 지정. 이제 이 빈은 HTTP 요청 당 하나씩 생성되고, HTTP 요청이 끝나는 시점에 소멸.
  • 이 빈이 생성되는 시점에 자동으로 @PostConstruct 초기화 메서드를 사용해 uuid를 생성 저장. 이 빈은 HTTP 요청 당 하나씩 생성되므로, uuid를 저장해두면 다른 HTTP 요청과 구분할 수 있다.
  • 이 빈이 소멸되는 시점에 @PreDestroy 를 사용해 종료 메시지를 남긴다.
  • requestURL 은 이 빈이 생성되는 시점에는 알 수 없으므로, 외부에서 setter로 입력 받는다.
package hello.core.web;

import hello.core.common.MyLogger;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ponseBody;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LogDemoController {
    private final LogDemoService logDemoService;
    private final MyLogger myLogger;

    @RequestMapping("log-demo")
    @ResponseBody
    public String logDemo(HttpServletRequest request) {
        String requestURL = request.getRequestURL().toString();
        myLogger.setRequestURL(requestURL);

        myLogger.log("controller test");
        logDemoService.logic("testId");
        return "OK";
    }
}
  • 로거가 잘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테스트용 컨트롤러.
  • 여기서 HttpServletRequest를 통해서 요청 URL을 받았다. (requestURL 값 http://localhost:8080/log-demo 이렇게 받은 requestURL 값을 myLogger에 저장.)
  • myLogger는 HTTP 요청 당 각각 구분되므로 다른 HTTP 요청 때문에 값이 섞이는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 컨트롤러에서 controller test라는 로그를 남긴다.
package hello.core.web;

import hello.core.common.MyLogger;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LogDemoService {

    private final MyLogger myLogger;

    public void logic(String id) {
        myLogger.log("service id = " + id);
    }
}
  • request scope를 사용하지 않고 파라미터로 이 모든 정보를 서비스 계층에 넘기면, 파라미터가 많아 지저분해진다.
  • 문제는 requestURL 같은 웹과 관련된 정보가 웹과 관련없는 서비스 계층까지 넘어가게 된다. 웹과 관련된 부분은 컨트롤러까지만 사용해야 한다. 서비스 계층은 웹 기술에 종속되지 않고, 가급적 순수하게 유지하는 것이 유지보수 관점에서 좋다.
  • request scope의 MyLogger 덕분에 이런 부분을 파라미터로 넘기지 않고, MyLogger의 멤버변수에 저장해서 코드와 계층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다.

## 스코프와 Provider

package hello.core.web;

import hello.core.common.MyLogger;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ObjectProvid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ponseBody;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LogDemoController {
    private final LogDemoService logDemoService;
    private final ObjectProvider<MyLogger> myLoggerProvider;

    @RequestMapping("log-demo")
    @ResponseBody
    public String logDemo(HttpServletRequest request) {
        String requestURL = request.getRequestURL().toString();
        MyLogger myLogger = myLoggerProvider.getObject();
        myLogger.setRequestURL(requestURL);

        myLogger.log("controller test");
        logDemoService.logic("testId");
        return "OK";
    }
}
package hello.core.web;

import hello.core.common.MyLogger;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ObjectProvid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LogDemoService {

    private final ObjectProvider<MyLogger> myLoggerProvider;

    public void logic(String id) {
        MyLogger myLogger = myLoggerProvider.getObject();
        myLogger.log("service id = " + id);
    }
}
  • http://localhost:8081/log-demo 입력하여 진입 후 로그 확인. (3번 실행해봄. -> 요청마다 uuid 다름)
[110dc0f5-4fa0-4262-80af-ea27cf2f5288][http://localhost:8081/log-demo] controller test
[110dc0f5-4fa0-4262-80af-ea27cf2f5288][http://localhost:8081/log-demo] service id = testId
[110dc0f5-4fa0-4262-80af-ea27cf2f5288] request scope bean close : hello.core.common.MyLogger@5454f5fe
[3414a625-0787-4316-b2f4-70653c71b647] request scope bean create : hello.core.common.MyLogger@7514d737
[3414a625-0787-4316-b2f4-70653c71b647][http://localhost:8081/log-demo] controller test
[3414a625-0787-4316-b2f4-70653c71b647][http://localhost:8081/log-demo] service id = testId
[3414a625-0787-4316-b2f4-70653c71b647] request scope bean close : hello.core.common.MyLogger@7514d737
[56ac4499-6301-4f8d-84d5-d4f9f9f68491] request scope bean create : hello.core.common.MyLogger@73cdbe79
[56ac4499-6301-4f8d-84d5-d4f9f9f68491][http://localhost:8081/log-demo] controller test
[56ac4499-6301-4f8d-84d5-d4f9f9f68491][http://localhost:8081/log-demo] service id = testId
[56ac4499-6301-4f8d-84d5-d4f9f9f68491] request scope bean close : hello.core.common.MyLogger@73cdbe79
  • ObjectProvider 덕분에 ObjectProvider.getObject() 를 호출하는 시점까지 request scope 빈의 생성을 지연할 수 있다.
  • ObjectProvider.getObject() 를 호출하시는 시점에는 HTTP 요청이 진행중이므로 request scope 빈의 생성이 정상 처리된다.
  • ObjectProvider.getObject() 를 LogDemoController , LogDemoService 에서 각각 한번씩 따로 호출해도 같은 HTTP 요청이면 같은 스프링 빈이 반환된다.

## 스코프와 프록시.

package hello.core.commo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Scope;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ScopedProxyMode;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import javax.annotation.PostConstruct;
import javax.annotation.PreDestroy;
import java.util.UUID;

@Component
@Scope(value = "request", proxyMode = ScopedProxyMode.TARGET_CLASS)
public class MyLogger {
    private String uuid;
    private String requestURL;

    public void setRequestURL(String requestURL) {
        this.requestURL = requestURL;
    }

    public void log(String msg) {
        System.out.println("[" + uuid + "]" + "[" + requestURL + "] " + msg);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uuid = UUID.randomUUID().toString();
        System.out.println("[" + uuid + "] request scope bean create : " + this);
    }

    @PreDestroy
    public void close() {
        System.out.println("[" + uuid + "] request scope bean close : " + this);
    }
}
package hello.core.web;

import hello.core.common.MyLogger;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ObjectProvid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ponseBody;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LogDemoController {
    private final LogDemoService logDemoService;
    private final MyLogger myLogger;

    @RequestMapping("log-demo")
    @ResponseBody
    public String logDemo(HttpServletRequest request) {
        String requestURL = request.getRequestURL().toString();

        myLogger.setRequestURL(requestURL);

        myLogger.log("controller test");
        logDemoService.logic("testId");
        return "OK";
    }
}
package hello.core.web;

import hello.core.common.MyLogger;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ObjectProvid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LogDemoService {

    private final MyLogger myLogger;

    public void logic(String id) {
        myLogger.log("service id = " + id);
    }
}
  • 핵심은 @Scope에 설정된 proxyMode.
  • 적용 대상이 클래스면 TARGET_CLASS 를 선택
  • 적용 대상이 인터페이스면 INTERFACES 를 선택
  • 이렇게 하면 MyLogger의 가짜 프록시 클래스를 만들어두고 HTTP request와 상관 없이 가짜 프록시 클래스를 다른 빈에 미리 주입해 둘 수 있다.

CGLIB라는 라이브러리로 내 클래스를 상속 받은 가짜 프록시 객체를 만들어서 주입한다.

  • @Scope 의 proxyMode = ScopedProxyMode.TARGET_CLASS) 를 설정하면 스프링 컨테이너는 CGLIB 라는 바이트코드를 조작하는 라이브러리를 사용, MyLogger를 상속받은 가짜 프록시 객체를 생성한다.
  • 결과를 확인해보면 순수한 MyLogger 클래스가 아니라 MyLogger$ $EnhancerBySpringCGLIB 이라는 클래스로 만들어진 객체가 대신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 컨테이너에 "myLogger"라는 이름으로 진짜 대신 가짜 프록시 객체를 등록한다.
  • ac.getBean("myLogger", MyLogger.class) 로 조회해도 프록시 객체가 조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그래서 의존관계 주입도 이 가짜 프록시 객체가 주입된다.

동작 정리

  • CGLIB라는 라이브러리로 내 클래스를 상속 받은 가짜 프록시 객체를 만들어서 주입한다.
  • 가짜 프록시 객체는 실제 요청이 오면 그때 내부에서 실제 빈을 요청하는 위임 로직이 들어있다.
  • 가짜 프록시 객체는 실제 request scope와는 관계가 없다. 그냥 가짜이고, 내부에 단순한 위임 로직만 있고, 싱글톤 처럼 동작한다.

정리.

  • 프록시 객체 덕분에 클라이언트는 싱글톤 빈을 사용하듯 편리하게 request scope를 사용할 수 있다.
  • 핵심 : Provider를 사용하든, 프록시를 사용하든 핵심 아이디어는 진짜 객체 조회를 꼭 필요한 시점까지 지연처리 한다는 점.
  • 애노테이션 설정 변경만으로 원본 객체를 프록시 객체로 대체할 수 있다. (다형성과 DI 컨테이너가 가진 큰 강점.)
  • 웹 스코프가 아니어도 프록시는 사용할 수 있다.

주의점

  • 마치 싱글톤을 사용하는 것 같지만 다르게 동작하기 때문에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 이런 특별한 scope는 꼭 필요한 곳에만 최소화해서 사용, 무분별하게 사용하면 유지보수하기 어려워진다.
반응형
반응형

# 빈 생명주기 콜백

## 빈 생명주기 콜백 시작

  • 데이터베이스커넥션 풀, 네트워크 소켓처럼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점에 필요한 연결을 미리 해두고, 애플리케이션 종료 시점에 연결을 모두 종료하는 작업을 진행하려면 객체의 초기화와 종료 작업이 필요.
package hello.core.lifecycle;

public class NetworkClient {

    private String url;

    public NetworkClient() {
        System.out.println("생성자 호출 :: " + " url = " + url);
        connect();
        call("초기화 연결 메시지");
    }

    public void setUrl(String url) {
        this.url = url;
    }

    // 서비스 시작 시 호출.
    public void connect() {
        System.out.println("connect ::: " + url);
    }

    public void call(String msg) {
        System.out.println("call ::: " + url + " msg = " + msg);
    }

    // 서비스 종료 시 호출.
    public void disconnect() {
        System.out.println("close ::: " + url);
    }
}
package hello.core.lifecycl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Configurable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public class BeanLifeCycleTest {

    @Test
    public void lifeCycleTest() {
        Configurable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LifeCycleConfig.class);
        NetworkClient client = ac.getBean(NetworkClient.class);
        ac.close();
    }

    @Configuration
    static class LifeCycleConfig {
        @Bean
        public NetworkClient networkClient() {
            NetworkClient networkClient = new NetworkClient();
            networkClient.setUrl("http://hello-spring.dev");
            return networkClient;
        }
    }
}

 

  • 스프링 빈의 라이프 사이클 : 객체 생성 > 의존관계 주입.
  • 스프링 빈은 객체를 생성하고, 의존관계 주입이 다 끝난 다음 필요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 된다. 따라서 초기화 작업은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되고 난 다음 호출해야 한다.
  • 스프링은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되면 스프링 빈에게 콜백 메서드를 통해 초기화 시점을 알려주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
  • 스프링은 스프링 컨테이너가 종료되기 직전 소멸 콜백을 준다. 따라서 안전하게 종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 스프링 빈의 이벤트 라이프사이클 :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 스프링 빈 생성 > 의존관계 주입 > 초기화 콜백 > 사용 > 소멸 전 콜백 > 스프링 종료
  • 초기화 콜백 : 빈 생성되고, 빈의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된 후 호출.
  • 소멸 전 콜백 : 빈이 소멸되기 직전 호출.
  • 객체의 생성과 초기화를 분리하자.
생성자는 필수 정보를 파라미터로 받고 메모리 할당해서 객체를 생성하는 책임을 가진다.

초기화는 이렇게 생성된 값을 활용, 외부 커넥션을 연결하는 등 무거운 동작을 수행한다.

=>
생성자 안에서 무거운 초기화 작업같이 하기보다는 객체 생성 과 초기화를 나누는게 유지보수 관점에서 좋다.
  • 스프링 빈 생명주기 콜백 지원 방법
1. 인터페이스(InitializingBean, DisposableBean)

2. 설정 정보에 초기화 메서드, 종료 메서드 지정

3. @PostConstruct, @PreDestroy 애노테이션 지원

1. 인터페이스 (InitializingBean, DisposableBean)

package hello.core.lifecycle;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Disposable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InitializingBean;

public class NetworkClient implements InitializingBean, DisposableBean {

    private String url;

    public NetworkClient() {
        System.out.println("생성자 호출 :: " + " url = " + url);
    }

    public void setUrl(String url) {
        this.url = url;
    }

    // 서비스 시작 시 호출.
    public void connect() {
        System.out.println("connect ::: " + url);
    }

    public void call(String msg) {
        System.out.println("call ::: " + url + " msg = " + msg);
    }

    // 서비스 종료 시 호출.
    public void disconnect() {
        System.out.println("close ::: " + url);
    }

    // 초기화 빈. -> 의존관계 주입 끝나면 호출.
    @Override
    public void afterPropertiesSet() throws Exception {
        System.out.println("NetworkClient.afterPropertiesSet");
        connect();
        call("초기화 연결 메시지");
    }

    // 빈 종료 시 호출.
    @Override
    public void destroy() throws Exception {
        System.out.println("NetworkClient.destroy");
        disconnect();
    }
}
  • InitializingBean 은 afterPropertiesSet() 메서드로 초기화를 지원.
  • DisposableBean 은 destroy() 메서드로 소멸을 지원.

초기화, 소멸 인터페이스 단점

이 인터페이스는 스프링 전용 인터페이스로 해당 코드가 스프링 전용 인터페이스에 의존한다.

초기화, 소멸 메서드의 이름을 변경할 수 없다.

내가 코드를 고칠 수 없는 외부 라이브러리에 적용할 수 없다.
  • 스프링 초창기에 나온 방법으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2. 빈 등록 초기화, 소멸 메서드

package hello.core.lifecycle;

public class NetworkClient {

    private String url;

    public NetworkClient() {
        System.out.println("생성자 호출 :: " + " url = " + url);
    }

    public void setUrl(String url) {
        this.url = url;
    }

    // 서비스 시작 시 호출.
    public void connect() {
        System.out.println("connect ::: " + url);
    }

    public void call(String msg) {
        System.out.println("call ::: " + url + " msg = " + msg);
    }

    // 서비스 종료 시 호출.
    public void disconnect() {
        System.out.println("close ::: " + url);
    }

    // 초기화 빈. -> 의존관계 주입 끝나면 호출.
    public void init() throws Exception {
        System.out.println("NetworkClient.init");
        connect();
        call("초기화 연결 메시지");
    }

    // 빈 종료 시 호출.
    public void close() throws Exception {
        System.out.println("NetworkClient.close");
        disconnect();
    }
}
  • 설정 정보에 @Bean(initMethod = "init", destroyMethod = "close") 처럼 초기화, 소멸 메서드를 지정 가능.
package hello.core.lifecycl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Configurable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public class BeanLifeCycleTest {

    @Test
    public void lifeCycleTest() {
        Configurable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LifeCycleConfig.class);
        NetworkClient client = ac.getBean(NetworkClient.class);
        ac.close();
    }

    @Configuration
    static class LifeCycleConfig {
        @Bean(initMethod = "init", destroyMethod = "close")
        public NetworkClient networkClient() {
            NetworkClient networkClient = new NetworkClient();
            networkClient.setUrl("http://hello-spring.dev");
            return networkClient;
        }
    }
}

설정 정보 사용 특징

메서드 이름을 자유롭게 줄 수 있다.

스프링 빈이 스프링 코드에 의존하지 않는다.

코드가 아닌 설정 정보를 사용하기 때문에 코드를 고칠 수 없는 외부 라이브러리에도 초기화, 종료
메서드를 적용할 수 있다. (가장 큰 장점)
  • @Bean의 destroyMethod 속성에는 아주 특별한 기능 존재.
라이브러리는 대부분 close , shutdown 이라는 이름의 종료 메서드를 사용한다.

@Bean의 destroyMethod 는 기본값이 (inferred) (추론)으로 등록되어 있다.

이 추론 기능은 close , shutdown 라는 이름의 메서드를 자동으로 호출해준다. 이름 그대로 종료
메서드를 추론해서 호출해준다.

따라서 직접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면 종료 메서드는 따로 적어주지 않아도 잘 동작한다.

추론 기능을 사용하기 싫으면 destroyMethod="" 처럼 빈 공백을 지정하면 된다

3. 애노테이션 @PostConstruct, @PreDestroy (해당 방법 사용하기!!)

package hello.core.lifecycle;

import javax.annotation.PostConstruct;
import javax.annotation.PreDestroy;

public class NetworkClient {

    private String url;

    public NetworkClient() {
        System.out.println("생성자 호출 :: " + " url = " + url);
    }

    public void setUrl(String url) {
        this.url = url;
    }

    // 서비스 시작 시 호출.
    public void connect() {
        System.out.println("connect ::: " + url);
    }

    public void call(String msg) {
        System.out.println("call ::: " + url + " msg = " + msg);
    }

    // 서비스 종료 시 호출.
    public void disconnect() {
        System.out.println("close ::: " + url);
    }

    // 초기화 빈. -> 의존관계 주입 끝나면 호출.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throws Exception {
        System.out.println("NetworkClient.init");
        connect();
        call("초기화 연결 메시지");
    }

    // 빈 종료 시 호출.
    @PreDestroy
    public void close() throws Exception {
        System.out.println("NetworkClient.close");
        disconnect();
    }
}
package hello.core.lifecycl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Configurable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public class BeanLifeCycleTest {

    @Test
    public void lifeCycleTest() {
        Configurable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LifeCycleConfig.class);
        NetworkClient client = ac.getBean(NetworkClient.class);
        ac.close();
    }

    @Configuration
    static class LifeCycleConfig {
        /*@Bean(initMethod = "init", destroyMethod = "close")*/
        @Bean
        public NetworkClient networkClient() {
            NetworkClient networkClient = new NetworkClient();
            networkClient.setUrl("http://hello-spring.dev");
            return networkClient;
        }
    }
}
  • @PostConstruct , @PreDestroy 두 애노테이션 사용 시 가장 편리하게 초기화, 종료를 실행할 수 있다.
  • 최신 스프링에서 가장 권장하는 방법이다.
  • 애노테이션 하나만 붙이면 되므로 매우 편리하다.
  • 패키지를 살펴 보면 javax.annotation.PostConstruct 으로, 스프링에 종속적인 기술이 아니라 JSR-250 라는 자바 표준이다. 따라서 스프링이 아닌 다른 컨테이너에서도 동작한다.
  • 컴포넌트 스캔과 잘 어울린다.
  • 유일한 단점 : 외부 라이브러리에는 적용하지 못한다는 것. (외부 라이브러리를 초기화, 종료 해야 하면 @Bean의 기능을 사용.)
반응형
반응형

# 의존관계 자동 주입

## 롬북과 최신 트랜드

  • 개발을 해보면 대부분 불변, 그래서 final 키워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생성자도 만들어야하고 주입받는 값을 대입하는 코드도 만들어야 하는 귀찮음이 존재한다. 필드 주입처럼 편리하게 사용하는 방법은 없을까 라는 고민에서 시작.
  • 생성자가 1개만 있을 경우 아래와 같이 @Autowired 생략 가능.
package hello.core.order;

import hello.core.discount.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member.Member;
import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import hello.core.member.MemoryMemberReposi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Component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public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this.discountPolicy = discountPolicy;
    }

    @Override
    public Order createOrder(Long memberId, String itemName, int itemPrice) {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Id);
        int discountPrice = discountPolicy.discount(member, itemPrice);

        return new Order(memberId, itemName, itemPrice, discountPrice);
    }

    // 테스트 용
    public MemberRepository getMemberRepository() {
        return memberRepository;
    }
}

롬북 라이브러리 적용. (build.gradle 에 라이브러리 및 환경 추가)

plugins {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6.3'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11.RELEASE'
   id 'java'
}

group = 'hello'
version = '0.0.1-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11'

//lombok 설정 추가 시작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lombok 설정 추가 끝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lombok 라이브러리 추가 시작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test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lombok 라이브러리 추가 끝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 1. File Settings(맥은 Preferences) > plugin lombok 검색 설치 실행 (재시작)
  • 2. File Settings > Annotation Processors 검색 Enable annotation processing 체크 (재시작)
  • 3. 임의의 테스트 클래스를 만들고 @Getter, @Setter 확인
package hello.core;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Setter;
import lombok.ToString;

@Getter
@Setter
@ToString
public class HelloLombok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
        HelloLombok helloLombok = new HelloLombok();
        helloLombok.setName("abc");

        //String name = helloLombok.getName();
        //System.out.println("name = " + name);
        System.out.println("helloLombok = " + helloLombok);
    }
}
  • @RequiredArgsConstructor : final이 붙은 필드를 모아서 생성자를 자동으로 만들어준다. (코드가 간결해진다.)
package hello.core.order;

import hello.core.discount.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member.Member;
import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Component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Override
    public Order createOrder(Long memberId, String itemName, int itemPrice) {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Id);
        int discountPrice = discountPolicy.discount(member, itemPrice);

        return new Order(memberId, itemName, itemPrice, discountPrice);
    }

    // 테스트 용
    public MemberRepository getMemberRepository() {
        return memberRepository;
    }
}
  • 최근에는 생성자를 1개만 두고, @Autowired 를 생략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Lombok 라이브러리의 @RequiredArgsConstructor 함께 사용하면 기능은 다 제공하면서, 코드는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조회 빈이 2개 이상인 경우.

  • @Autowired 는 타입(Type)으로 조회한다.
@Autowired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Autowired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타입으로 조회하기 때문에, 마치 다음 코드와 유사하게 동작. (실제로는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한다.) 
ac.getBean(DiscountPolicy.class)

## @Autowired 필드명, @Qualifier, @Primary

  • 조회 대상 빈이 2개 이상인 경우 해결 방법 : @Autowired 필드명, @Qualifier, @Primary 등의 방법 사용.

1. @Autowired 필드 명 매칭

  • @Autowired 는 타입 매칭을 시도, 이때 여러 빈이 있는 경우 필드명, 파라미터 이름으로 빈 이름을 추가 매칭한다.
  • 기존코드 가 아래와 같을 때.
@Autowired
private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필드명을 빈 이름으로 변경.
@Autowired
private DiscountPolicy rateDiscountPolicy
  • 필드 명이 rateDiscountPolicy 이므로 정상 주입.
  • 필드명 매칭은 먼저 타입 매칭을 시도, 그 결과에 여러 빈이 있을 때 추가로 동작하는 기능.
  • @Autowired 매칭 정리
1. 타입 매칭 

2. 타입 매칭의 결과가 2개 이상일 때 필드 명, 파라미터 명으로 빈 이름 매칭

2. @Qualifier @Qualifier끼리 매칭 빈 이름 매칭

  • 추가 구분자를 붙여주는 방법. (주입 시 추가적인 방법을 제공할 뿐, 빈 이름을 변경하는게 아님)
  • 빈 등록 시 @Qualifier 를 붙여서 사용.

생정자 자동 주입 예시.

package hello.core.discount;

import hello.core.member.Grade;
import hello.core.member.Member;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Qualifi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Component
@Qualifier("mainDiscountPolicy")
public class RateDiscountPolicy implements DiscountPolicy {

    private int discountPercent = 10; // 할인율 10%

    @Override
    public int discount(Member member, int price) {
        if (member.getGrade() == Grade.VIP) {
            return price * discountPercent / 100;
        } else {
            return 0;
        }
    }
}
package hello.core.discount;

import hello.core.member.Grade;
import hello.core.member.Member;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Qualifier;

@Qualifier("fixDiscountPolicy")
public class FixDiscountPolicy implements DiscountPolicy {

    private int discountFixAmount = 1000; // 1,000원 할인

    @Override
    public int discount(Member member, int price) {
        if (member.getGrade() == Grade.VIP) {
            return discountFixAmount;
        } else {
            return 0;
        }
    }
}

수정자 자동 주입 예시.

package hello.core.order;

import hello.core.discount.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member.Member;
import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Qualifi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Component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Autowired
    public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Qualifier("main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this.discountPolicy = discountPolicy;
    }

    @Override
    public Order createOrder(Long memberId, String itemName, int itemPrice) {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Id);
        int discountPrice = discountPolicy.discount(member, itemPrice);

        return new Order(memberId, itemName, itemPrice, discountPrice);
    }

    // 테스트 용
    public MemberRepository getMemberRepository() {
        return memberRepository;
    }
}
  • @Qualifier 로 주입 시 @Qualifier("mainDiscountPolicy") 를 못찾게 될 경우 mainDiscountPolicy라는 이름의 스프링 빈을 추가로 찾는다.
  • @Qualifier 는 @Qualifier 를 찾는 용도로만 사용하는게 명확하고 좋다.
  • @Qualifier 정리
1. @Qualifier끼리 매칭

2. 빈 이름 매칭

3. NoSuchBeanDefinitionException 예외 발생

3 . @Primary 사용 (자주 사용!!)

  • @Primary 는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법으로, @Autowired 시 여러 빈이 매칭되면 @Primary 가 우선권을 가진다.
package hello.core.discount;

import hello.core.member.Grade;
import hello.core.member.Member;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Qualifier;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Primary;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Component
@Primary
public class RateDiscountPolicy implements DiscountPolicy {

    private int discountPercent = 10; // 할인율 10%

    @Override
    public int discount(Member member, int price) {
        if (member.getGrade() == Grade.VIP) {
            return price * discountPercent / 100;
        } else {
            return 0;
        }
    }
}
  • @Qualifier 의 단점 : 주입 받을 때 모든 코드에 @Qualifier 를 붙여주어야 한다는 점. (@Primary 를 사용하면 @Qualifier 를 붙일 필요가 없다.)
  • 우선순위 : 자세한것(좁은선택범위) 이 우선순위가 높다. (스프링은 자동보다 수동, 넒은 범위의 선택권 보다 좁은 범위의 선택권이 우선 순위가 높다. @Qualifier 가 우선권이 높다.)

## 애노테이션 직접 만들기

  • @Qualifier("mainDiscountPolicy") 와 같이 적게되면 컴파일시 타입 체크가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애노테이션을 직접 만들어서 해결할 수 있다.
  • 생성한 애노테이션에 Ctrl + B (인텔리제이, 윈도우 기준) 입력 시, 해당 애노테이션을 사용하는 곳 추적 가능하다.
package hello.core.annot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Qualifier;

import java.lang.annotation.*;

@Target({ElementType.FIELD, ElementType.METHOD, ElementType.PARAMETER, ElementType.TYPE, ElementType.ANNOTATION_TYPE})
@Retention(RetentionPolicy.RUNTIME)
@Inherited
@Documented
@Qualifier("mainDiscountPolicy")
public @interface MainDiscountPolicy {
}
  • 생성한 애노테이션 추가.
package hello.core.discount;

import hello.core.annotation.Main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member.Grade;
import hello.core.member.Member;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Qualifier;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Primary;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Component
@MainDiscountPolicy
public class RateDiscountPolicy implements DiscountPolicy {

    private int discountPercent = 10; // 할인율 10%

    @Override
    public int discount(Member member, int price) {
        if (member.getGrade() == Grade.VIP) {
            return price * discountPercent / 100;
        } else {
            return 0;
        }
    }
}
package hello.core.order;

import hello.core.annotation.Main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discount.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member.Member;
import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Component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Autowired
    public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Main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this.discountPolicy = discountPolicy;
    }

    @Override
    public Order createOrder(Long memberId, String itemName, int itemPrice) {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Id);
        int discountPrice = discountPolicy.discount(member, itemPrice);

        return new Order(memberId, itemName, itemPrice, discountPrice);
    }

    // 테스트 용
    public MemberRepository getMemberRepository() {
        return memberRepository;
    }
}
  • 애노테이션에는 상속이라는 개념이 없다.
  • 여러 애노테이션을 모아 사용하는 기능은 스프링에서 지원해주는 기능이다.
  • @Qulifier 뿐만 아니라 다른 애노테이션들도 조합해서 사용 가능하다. 
  • @Autowired 도 재정의 할 수 있지만, 뚜렷한 목적 없이 무분별하게 재정의 하는것은 유지보수에 혼란을 줄 수 있다.

## 조회한 빈이 모두 필요할 때 List, Map

  • 의도적으로 해당 타입의 스프링 빈이 다 필요한 경우 사용.
package hello.core.autowired;

import hello.core.AutoAppConfig;
import hello.core.discount.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member.Grade;
import hello.core.member.Member;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Map;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public class AllBeanTest {

    @Test
    void findAllBean() {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utoAppConfig.class, DiscountService.class);

        DiscountService discountService = ac.getBean(DiscountService.class);
        Member member = new Member(1L, "userA", Grade.VIP);
        int discountPrice = discountService.discount(member, 10000, "fixDiscountPolicy");

        assertThat(discountService).isInstanceOf(DiscountService.class);
        assertThat(discountPrice).isEqualTo(1000);

        int rateDiscountPrice = discountService.discount(member, 20000, "rateDiscountPolicy");
        assertThat(rateDiscountPrice).isEqualTo(2000);
    }

    static class DiscountService {
        private final Map<String, DiscountPolicy> policyMap;
        private final List<DiscountPolicy> policies;

        @Autowired
        public DiscountService(Map<String, DiscountPolicy> policyMap, List<DiscountPolicy> policies) {
            this.policyMap = policyMap;
            this.policies = policies;

            System.out.println("policyMap = " + policyMap);
            System.out.println("policies = " + policies);
        }

        public int discount(Member member, int price, String discountCode) {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policyMap.get(discountCode);

            System.out.println("discountCode = " + discountCode);
            System.out.println("discountPolicy = " + discountPolicy);

            return discountPolicy.discount(member, price);
        }
    }
}
  • DIscountService는 Map으로 모든 DiscountPolicy를 주입 받음. 이때 fixDiscountPolicy, rateDiscountPolicy 주입.
  • discount() 멧드는discountCode로 fixDiscountPolicy(or rateDiscountPolicy)가 오는경우 map에서 fixDiscountPolicy(or rateDiscountPolicy) 빈을 찾아 실행한다.

## 자동과 수동의 올바른 실무 운영 기준.

편리한 자동 기능을 기본으로 사용.

  • 스프링이 나오고 시간이 갈수록 자동을 선호하는 추세.
  • 스프링은 계층에 맞춰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 로직을 자동으로 스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최근 스프링 부트는 컴포넌트 스캔을 기본으로 사용하고, 스프링 부트의 다양한 스프링 빈들도 조건만 맞으면 자동으로 등록되도록 설계함.
  • 자동 빈 등록을 사용해도 OCP, DIP를 지킬 수 있다.

수동 빈 등록은 언제 하면 좋을지.

  • 애플리케이션은 크게 업무 로직과 기술지원 로직으로 나뉨.
  • 업무로직 빈 : 웹을 지원하는 컨트롤러, 핵심 비즈니스 로직이 있는 서비스, 데이터 계층의 로직을 처리하는 리포지토리 등. 보통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개발할 때 추가 or 변경된다.
  • 기술지원 빈 : 기술적 문제나 공통 관심사(AOP)를 처리할 때 사용. 데이터베이스 연결, 공통 로그 처리처럼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하부 기술 또는 공통 기술. (수동 빈 등록하여 설정 정보에 바로 나타나도록 하는게 유지보수 에 좋음)
  • 업무 로직은 숫자가 많고, 한번 개발해야 하면 컨트롤러, 서비스, 리포지토리 등 어느정도 유사한 패턴이 존재. 이런 경우 자동 기능을 적극 사용하는 것이 좋다. (문제 발생 시 어떤 곳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명확하게 파악하기 쉬움)
  • 기술 지원 로직은 업무 로직과 비교 시 수가 매우 적고, 보통 애플리케이션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친다. 기술 지원 로직은 적용이 잘 되고 있는지 아닌지 조차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래서 기술 지원 로직들은 가급적 수동 빈 등록을 사용해서 명확하게 들어내는 것이 좋다.
  • 비즈니스 로직 중 다형성을 적극 활용할 때에는 수동 빈 등록하는 것이 좋다.
  • 수동, 자동 등록의 핵심은 빈의 이름 및 어떤 빈들이 주입될지 한 눈에 파악 가능하도록 하는 것.
  • 정리.
편리한 자동 기능을 기본으로 사용.

직접 등록하는 기술 지원 객체는 수동 등록.

다형성을 적극 활용하는 비즈니스 로직은 수동 등록을 고민.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