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프리랜서(3.3%) 와 사업자 비교
- 1억을 번다고 가정했을때..
- 프리랜서의 경우 3.3% (소득세 3% / 지방세 3%) 가 공제된 금액을 받는다.
- 사업자의 경우 부가세 10% 가 포함된 금액을 받는다.
- 하지만 이때 프리랜서와 사업자의 매출은 1억으로 동일하다. (부가세는 내돈이 아니라, 납부해야하는 금액임, 3.3%는 세금을 미리 낸것.)
## 부가세 신고
1. 프리랜서 (부가세 신고 의무 X)
- 프리랜서의 경우 면세 사업자로 분류되기 때문에 부가세 신고납부 의무가 없음.
2, 사업자 (부가세 신고 의무 O)
- 사업자의 경우 매출(실적)이 없더라도 (또는 매출매입이 없더라도) 무실적 신고를 하는게 원칙. (매입매출 둘다 없으면 무실적신고, 매입만 있으면 매입신고)
## 종합소득세 계산구조
- 소득에 따라 산출세액이 나오게 되면, 세액공제 가능 여부에 따라 감면 가능.
- 사업자의 업종 종류, 나이 등 여러 요건에 따라 중소기업감면, 창업중소기업감면 등을 받을 수있다.
## 결론
- 종합적으로 보면 매출이 올라갈수록 프리랜서보다는 사업자를 내서 활동하는게 유리할 수 있다.
참고 : https://www.youtube.com/watch?v=cirF3qTRcpE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세금)계산서 (2) | 2023.01.30 |
---|---|
전자 세금계산서 발행방법 (0) | 2023.01.30 |
개인사업자 신청 관련정보 (개인사업자 신청방법 / 창업 중소기업 특별세액 감면 제도 / 간이과세자 일반과세자) (0) | 2023.01.29 |
스크럼(Scrum) (0) | 2022.11.23 |
Java 보안으로 차단된 응용 프로그램 해결방법 (0) | 2022.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