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터페이스 방법 명세화

- 인터페이스 방법 명세화는 내, 외부 시스템이 연계하여 작동할 때 인터페이스별 송, 수신 방법, 송, 수신 데이터, 오류 식별 및 처리 방안에 대한 내용을 문서로 명확하게 정리하는 것이다.

- 인터페이스별로 송, 수신 방법을 명세화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연계 기술, 인터페이스 통신 유형, 처리 유형, 발생 주기 등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시스템 연계 기술

- 시스템 연계 기술은 개발할 시스템과 내, 외부 시스템을 연계할 때 사용되는 기술을 의미한다.

- 주요 시스템 연계 기술에는 DB Link, API/Open API, 연계 솔루션, Socket, Web Service 등이 있다.

- DB Link : DB에서 제공하는 DB Link 객체를 이용하는 방식

- API/Open API : 송신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DB)에서 데이터를 읽어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 연계 솔루션 : EAI 서버와 송, 수신 시스템에 설치되는 클라이언트를 이용하는 방식

- Socket : 서버는 통신을 위한 소켓을 생성하여 포트를 할당하고, 클라이언트의 통신 요청 시 클라이언트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네트워크 기술

- Web Service : 웹 서비스에서 WSDL과 UDDI, SO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연계하는 서비스

반응형
반응형

*식별 대상 데이터

- 식별 대상 데이터는 송, 수신 시스템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로 규격화된 표준 형식에 따라 전송된다.

- 교환되는 데이터의 종류에는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 송, 수신 데이터 항목, 공통 코드가 있다.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

-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은 송, 수신 시스템을 연계하는데 표준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은 시스템 공통부와 거래 공통부로 나뉜다.

- 시스템 공통부 : 시스템 간 연동 시 필요한 공통 정보이다. 구성 정보에는 인터페이스 ID, 전송 시스템 정보, 서비스 코드 정보, 응답 결과 정보, 장애 정보 등이 있다.

- 거래 공통부 : 시스템들이 연동된 후 송, 수신 되는 데이터를 처리할 때 필요한 정보이다. 구성 정보에는 직원 정보, 승인자 정보, 기기 정보, 매체 정보 등이 있다.

 

*송, 수신 데이터 항목

- 송, 수신 데이터 항목은 송, 수신 시스템이 업무를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데이터이다.

- 전송되는 데이터 항목과 순서는 인터페이스별로 다르다.

 

*공통 코드

- 공통 코드는 시스템들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코드이다.

- 연계 시스템이나 연계 소프트웨어에서 사용하는 상태 및 오류 코드 등과 같은 항목에 대해 코드값과 코드명, 코드 설명 등을 공통 코드로 관리한다.

 

*정보 흐름 식별

- 정보 흐름을 식별하는 것은 개발할 시스템과 내, 외부 시스템 사이에서 전송되는 정보들의 방향성을 식별하는 것이다.

- 개발할 시스템과 내, 외부 시스템에 대한 각각의 인터페이스 목록을 확인하여 정보 흐름을 식별한다.

- 식별할 정보 흐름을 기반으로 송, 수신 시스템 사이에서 교환되는 주요 데이터 항목이나 정보 그룹을 도출한다.

 

*송, 수신 데이터 식별

- 개발할 시스템과 연계할 내, 외부 시스템 사이의 정보 흐름과 데이터베이스 산출물을 기반으로 송, 수신 데이터를 식별한다.

- 송, 수신 데이터의 종류에는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에 대한 데이터 항목과 코드성 데이터 항목이 있다.

- 코드성 데이터 항목에 대해 송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코드 정보와 수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코드 정보가 동일한 경우 공통 코드 정보를 확보하고, 다른 경우 매핑 필요 대상으로 분류하여 양쪽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코드 정보를 확보한다.

-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과 송, 수신 데이터 항목 식별 : 송, 수신 시스템 사이의 교환 범위를 확인하고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에 대해 송, 수신 데이터 항목을 식별한다.

- 코드성 데이터 항목 식별 : 코드성 데이터 항목에 대해 코드, 코드명, 코드 설명 등의 코드 정보를 식별한다.

반응형
반응형

*개발 시스템 식별

- 개발 시스템을 식별하는 것은 인터페이스 관련 자료들을 기반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상세 식별 정보를 정의하고 목록을 작성하는 것이다.

 

*내, 외부 시스템 식별

- 내, 외부 시스템을 식별하는 것은 인터페이스 관련 자료들을 기반으로 개발할 시스템과 연계할 내, 외부 시스템들의 상세 식별 정보를 정의하고 목록을 작성하는 것이다.

 

*내, 외부 시스템 환경 및 관리 주체 식별

- 내, 외부 시스템 환경은 연계할 시스템 접속에 필요한 IP 또는 URL, Port 정보 등 시스템의 실제 운용 환경을 의미한다.

- 내, 외부 시스템 관리 주체는 하드웨어를 실제적으로 관리하는 담당자를 의미한다.

- 인터페이스 관련 자료들을 기반으로 내, 외부 시스템의 실제 운용 환경과 하드웨어 관리 주체를 확인한다.

 

*내, 외부 시스템 네트워크 연결 정보 식별

- 내, 외부 시스템 네트워크 연결 정보는 시스템 로그인 및 DB정보를 의미한다.

- 인터페이스 관련 자료들을 기반으로 내, 외부 시스템을 연계하는데 필요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확인한다.

 

*인터페이스 식별

- 인터페이스를 식별하는 것은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명세서와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목록을 기반으로 개발할 시스템과 이와 연계할 내, 외부 시스템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식별하고 인터페이스 목록을 작성하는 것이다.

 

*인터페이스 시스템 식별

-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식별하는 것은 인터페이스별로 인터페이스에 참여하는 시스템들을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으로 구분하여 작성하는 것이다.

반응형
반응형

*요구사항 검증

- 요구사항 검증은 인터페이스의 설계 및 구현 전에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이 요구사항 명세서에 정확하고 완전하게 기술되었는지 컴토하고 개발 범위의 기준인 베이스라인을 설정하는 것이다.

- 인터페이스의 설계 및 구현 중에 요구사항 명세서의 오류가 발견되어 이를 수정할 경우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프로젝트에서 요구사항 검증은 매우 중요하다.

-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증은 '요구사항 검토 계회 수립 > 검토 및 오류 수정 > 베이스라인 설정' 순으로 진행된다.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토 및 오류 수정

-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토는 검토 체크리스트의 항목에 따라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명세서를 검토하는 것이다.

- 요구사항 검토 시 오류가 발견되면 오류를 수정할 수 있도록 오류 목록과 시정 조치서를 작성한다.

- 오류 수정과 요구사항 승인 절차를 진행할 수 있도록 요구사항 검토 결과를 검토 관련자들에게 전달한다.

- 시정 조치서를 작성한 경우 시정 조치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여 시정 조치가 완료되면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토 작업을 완료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